당원 늘어난 與, 재정형편 좋아져… 한국당은 인상 “신청자 감소 우려한 것 아니냐” 목소리
여야가 6ㆍ13 지방선거에 나설 공직후보자 추천(공천)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양당이 책정한 공천심사료가 정반대의 흐름을 보이며 지방선거를 앞둔 상반된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25일 여야에 따르면 민주당은 지난 21일부터 27일까지 공직선거후보자를 공모 중이며 한국당은 4~13일, 21~22일에 걸쳐 신청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에서는 공천심사료를 인하한 반면 한국당은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경기도당이 책정한 이번 지방선거 공천심사료는 기초단체장 300만 원, 광역의원 150만 원, 기초의원 100만 원으로, 2014년 제6회 지방선거 때와 기초단체장은 동결했으며 광역의원 100만 원, 기초의원은 50만 원 인하했다. 이는 지난 대선부터 이어진 당의 강세 속에 당원 수가 급증하며 재정형편이 개선된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민주당 경기도당 당원 수는 지난 2016년 12월에서 지난해 12월까지 1년간 17만여 명 이상 증가했으며 당비를 납부하는 당원 수도 9만여 명가량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당의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지방선거에 도전하는 공천 신청자 수도 늘어날 것을 감안해 공천심사료를 인하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민주당은 지난달 예비후보자 검증 명목으로 신청자들로부터 20만 원의 심사료를 별도로 받았다. 민주당 관계자는 “지난 지방선거에서 공천심사료가 다소 부담스럽다는 목소리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공천 신청자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인하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한국당은 지난 지방선거에 비해 기초단체장은 100만 원에서 200만 원으로, 광역의원은 80만 원에서 150만 원, 기초의원은 5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각각 2배가량 인상했다.
이에 대해 공천 신청 전 필수적으로 내야 하는 당비 납부액을 기존 6개월에서 3개월분으로 줄였기 때문에 전체 납부액은 지난 선거와 별 차이가 없다는 것이 한국당 측 입장이다. 하지만 공천신청자를 비롯한 당내에서는 여당의 강세와 심각한 인재난으로 공천신청자가 감소할 것에 대비해 심사료를 올린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한국당 관계자는 “우리 당은 한동안 공천심사료를 동결해왔으며 이제야 민주당과 비슷한 수준으로 맞춰진 것”이라며 “실질적인 물가상승률을 고려했고 서류심사와 면접 등 공천심사에 필요한 실비를 산정한 것일 뿐 공천신청자 수를 고려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구윤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