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29일 광주시 남종면에 위치한 경기도 수자원본부 청사에서 ‘상생협력추진단’ 현판식을 열고 상생협력 방안 마련에 돌입했다. 추진단은 앞서 지난 1일 도와 이들 3개 지자체가 경기연구원이 제시한 ‘진위·안성천, 평택호 수계 수질개선과 상·하류 상생협력 방안 연구용역 결과’를 이행하기로 합의하면서 구성됐다.
앞으로 추진단은 ▲진위·안성천 및 평택호 수질개선 종합대책 수립·추진 ▲민·관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협의회 운영 ▲상류지역의 합리적인 규제개선 등과 관련해 3개 시 의견에 대한 중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1단 1팀 8명으로 구성되는 추진단의 단장은 경기도 수자원본부 상하수과장이 맡고, 용인·평택·안성시에서 정책협력관(사무관) 각 1명, 환경 전문가 7명 내외의 자문단 등으로 구성된다.
이재율 도 행정1부지사는 “1979년 송탄·유천 취수장을 중심으로 상수원보호구역이 지정된 이후 지속된 용인·평택·안성시 간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테이블이 마련됐다”면서 “3개 시가 모두 만족하는 상생협력 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고 말했다.
한편 송탄상수원보호구역은 진위천 송탄취수장(평택시 진위면) 주변 3천859㎢에, 평택상수원보호구역은 안성천 유천취수장(평택시 유천동) 주변 0.982㎢에 걸쳐 있다. 송탄상수원보호구역에는 용인시 남사면 1천572㎢가, 평택상수원보호구역에는 안성시 공도읍 0.956㎢가 포함돼 이들 지역의 공장설립 등 개발사업이 엄격히 제한됐다.
이에 용인·안성시는 평택시에 상수원보호구역 해제에 협조를 요구했지만, 평택시는 안정적인 물 공급과 수질오염 방지 등을 이유로 반대하면서 갈등이 지속돼 왔다.
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