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최대 현안인 한국GM 사태를 바라보던 지역 경제계와 62개 시민단체가 ‘한국GM 조기 정상화 및 인천 경제 살리기 범시민협의회’를 발족시켰다. 이들은 11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만3천개 일자리, 20만 시민의 생계를 책임지며 지역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GM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조속 지원, 실사 기간 최소화, 협력 및 관련업체 지원, 한국GM 노사 협력과 부평공장 외국인투자지역 지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범시민협의회는 오는 17일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종합문화예술회관 야외광장에서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고 한국GM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서명운동을 시작한다고 선언했다.
특히 범시민협의회는 정부, 한국GM 경영진과 노동조합에 지역 경제를 살리고 시민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양보와 결단을 촉구했다. 발족식에 참여했던 한 공동대표는 “한국GM과 함께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했던 수많은 협력업체들이 경영위기로 부도와 감원을 고민하고 있고 한국GM과 한 몸인 대리점, 운송업체, 인천항 근로자들이 직장을 잃고 있으며 지역 상권이 죽어가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라며 “이대로 한국GM 경영 불안정이 지속된다면 인천의 자동차산업은 무너지고 인천 경제기반도 흔들릴수 있다”며 노사 화합을 강조했다.
앞서 인천시도 한국GM 경영정상화를 위한 대시민 담화문을 발표하며 정부와 한국GM 노사는 물론 300만 시민의 적극적인 협조를 촉구했다.
유정복 시장은 “인천시민은 끝까지 부평공장을 지켜낼 것”이라며 “GM본사와 한국GM은 조기 경영정상화를 뛰어넘는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해야 하며 한국GM 노사는 시민과 정부의 신뢰와 지지를 받을수 있도록 대승적 차원에서 단합된 모습을 보여달라”고 호소했다 그리고 협력업체 긴급경영안정자금과 특례보증 등 900억 원 규모의 지원책을 제시하고 정부엔 부평공장의 외국인투자지역 지정을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인천시와 지역 경제계, 시민사회단체가 한목소리로 한국GM의 경영정상화를 요구하는 만큼 이젠 한국GM 노사가 대승적 차원의 결단을 내려 지역사회에 답을 내놓아야 할 때이다.
한국GM 노사는 알아야 한다. 300만 인천시민은 결코 지역 경제의 몰락을 바라지 않는다. 그렇다고 과거 귀족노조의 모습을 눈감아 주지도 않을 것이다. 함께 더불어 살아가자고 손을 내미는 이때 한국GM 노사는 욕망에서 벗어나 지역 대기업으로 면모를 갖춰야만 인천시민으로부터 사랑받는 향토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