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없는 시대 맞이…“혁신적 모바일 결제수단 탄생해야”

한국, 신용카드 결제 기반…중국, 계좌기반 모바일 결제 발달

▲ 금융위원회가 들어선 정부서울청사. 사진/경기일보DB
▲ 금융위원회가 들어선 정부서울청사. 사진/경기일보DB

[서울=경기일보/민현배 기자] 정부가 혁신적인 모바일 결제수단이 탄생할 수 있는 기반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김용범 부위원장 주재로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모바일 결제 활성화 간담회’를 열고 모바일 간편결제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금융위 핀테크최고책임자인 송준상 상임위원을 비롯해 금융회사, 핀테크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국내 모바일결제 현황을 점검하고 국내외의 모바일결제 방식의 차이·현황을 비교 논의했다.

또, 금융회사·핀테크 기업이 추진 중인 계좌 기반의 앱투앱 방식 등 보다 혁신적인 모바일 결제 방식이 다양하게 도입되는 방안도 토론했다.

김 부위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최근 모바일을 이용한 간편한 결제가 보편화돼 현금 없는 시대가 가속화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지문, 홍채 등 다양한 인증수단을 이용한 간편결제·송금서비스가 시장에 출시돼 국민 5명 중 1명은 간편결제를 이용중이다. 작년 말 기준 간편결제서비스는 39종, 간편송금서비스는 14종이 서비스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온라인 시장에서는 스마트폰의 보편화 등으로 모바일을 이용한 간편결제 방식이 이미 상당히 활성화된 상황이다. 오프라인 시장에서도 빠르게 성장중이나 아직 규모가 크지 않고, 결제망이 잘 갖추어진 신용카드 기반으로 이뤄지고 있다.

반면, 중국은 신용카드 인프라가 약하고 카드 보급률이 낮아 카드결제보다 핀테크기업 중심의 계좌기반 모바일 결제가 발달했다. 선불형 지급수단(계좌 등으로 미리 충전)을 발급받아 가맹점에서 QR코드를 이용해 결제하는 계좌기반 결제 방식이 주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김 부위원장은 “저렴한 수수료 부담(가맹점), 간편한 결제(소비자)가 가능하도록 모바일결제 활성화 여건을 조성할 것이다”며 “새로운 방식의 도입을 억제하는 규제나 기존 방식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제도나 법규는 폐지·조정함으로써 기술 중립성을 견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결제수단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효율적 결제수단은 거래비용은 낮고(가맹점 수수료 부담 경감), 편의성과 보안성은 높은 방식을 의미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