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가치 높이기 위해 총 854만주 소각 방침
[서울=경기일보/민현배 기자] 현대자동차가 14년 만에 자사주를 소각한다. 미국 헤지펀드 엘리엇의 압박 때문이라는 전망이 나오지만 현대차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현대차는 주주가치를 높이는 목적으로 보통주 661만주, 우선주 193만주 등 총 854만주를 소각한다고 27일 밝혔다.
자사주 소각이란 자기 회사의 주식을 사들여 없애버리는 것이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유통 주식주가 줄어들면서 주당순이익이 늘고 배당금이 많아진다.
현대차가 소각하는 자사주는 발행 주식 총수의 3% 수준이며 2004년 이후 14년 만이다. 현대차는 보유 중인 자사주 중 보통주 441만주, 우선주 128만주 등 569만주를 소각한다. 또 보통주 220만주, 우선주 65만주 등 총 285만주를 매입해 소각할 계획이다. 자사주 소각 규모는 기존 보유 자사주 소각에 약 5천600억 원, 추가 매입 후 소각에 약 4천억원 등 총 9천600억 원 규모다.
소각 시점은 기존 보유 자사주는 7월 27일, 매입 후 소각할 자사주는 매입 완료 시점으로 정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결정은 그동안 일관되게 진행해 온 주주가치 제고 노력의 일환”이라며 “다각적인 주주환원 확대 방안을 마련하고 적정 주가 평가를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의 자사주 소각 계획이 발표된 것은 그룹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엘리엇이 움직이기 시작한지 4일만이다. 엘리엇은 현대차그룹에 보낸 제안서에서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 간 분할합병에 반대 의사를 전하고 현대모비스와 현대차를 합병해 지주사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현대모비스 및 현대차의 모든 자사주 소각, 배당지급률을 순이익 기준의 40∼50%로 개선, 다국적 회사 경험이 풍부한 사외이사 3명의 추가 선임 등의 요구를 전했다.
일각에서는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현대차가 자사주 소각, 배당 확대 등 주주친화정책 확대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현대차 관계자는 “대규모의 자사주 소각 방침은 사나흘 만에 나올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엘리엇이 등장하기 전부터 내부적으로 오랫동안 검토했던 사안”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