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성공개최로 그동안 단절된 남북경제협력사업이 재개될 조짐을 보이면서 인천 경제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인천항과 남포항간 교역 재개에 따른 인천항 물동량 증가 효과와 더불어 인천시가 구상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의 실현 가능성에 이목이 집중된다.
29일 인천 경제계에 따르면 지난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역사적 만남 이후 북미정상회담까지 예고돼 남북 경협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아직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 제재 등이 유효하지만 남북화해 움직임이 기정사실화된 만큼 활발한 남북교류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우선 지난 2010년 이후 중단된 인천항~남포항 교역 재개가 예상된다. 남과 북을 오가는 물동량 상당수가 인천항을 거치는 만큼 남북관계 개선으로 인천항 물동량이 약 200만TEU 증가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인천시가 구상했던 강화 교동평화산업단지 조성 계획 재개 여부도 관심사다. 앞서 인천시는 북한과 가까이 위치한 강화 교동도에 산업단지를 조성한 후 남측 자본과 북측 노동력이 어우러지는 남북경제협력 프로젝트를 구상한 바 있다. 약 6천억원에 달하는 조성비용과 남북관계 경색으로 이 계획은 오랫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지만,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 이후 대북사업이 훈풍을 탈 것으로 기대되면서 구상안이 실현될지 관심이 쏠린다.
이 외에도 남북 공동어로개발, 한강 하구 공동이용, 영종~강화~개성~해주 간 평화도로 건설사업 등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 주요사업도 추진될 전망이다.
아울러 지난 2016년 과거 정부가 일방적으로 단행한 개성공단 폐쇄 조치로 심각한 타격을 입은 18개 인천 기업들의 회생, 북핵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인천경제자유구역 외국인 자본 투자유치 활성화 등 신성장 동력에 목마른 인천경제에 큰 기회가 될 것이란 분석이다.
인천상공회의소의 한 관계자는 “남북정상회담 성공은 서해경제협력벨트의 중심지, 중국·러시아를 연결하는 환황해권 경제·교통 중심지라는 인천의 꿈을 실현할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진전된 남북관계가 인천경제 성장의 밑거름이 되기 바란다”며 기대를 표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