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정상회담 판문점 개최 ‘급부상’

트럼프 “제3국보다 ‘그곳’ 선호”… 靑 “확정된 것 없어”

▲ 文 대통령, 유엔 사무총장과 北 비핵화 논의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결과와 북한의 비핵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통화했다고 1일 청와대가 발표했다. 연합뉴스
文 대통령, 유엔 사무총장과 北 비핵화 논의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결과와 북한의 비핵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통화했다고 1일 청와대가 발표했다. 연합뉴스
판문점이 5월 북미정상회담 장소 후보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제3국보다 판문점 행사가 엄청난 기념이 될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군사분계선을 두 번 넘게 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일 현재 북미정상회담 일정과 장소는 확정된 바가 없다. 당초 싱가포르, 몽골 울란바토르, 판문점, 평양 등 당초 5~6곳가량이었던 북미정상회담 장소 후보지는 남북정상회담 직후 있었던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에서 2~3곳으로 압축됐고, 이후 김 위원장까지 판문점 개최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판문점으로 빠르게 압축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에서 30일(현지시간) 열린 나이지리아 대통령 정상회담에서 “누구는 좋아하지 않을 수도 있고 누구는 좋아할 수도 있겠지만 나는 제3국이 아닌 그 곳(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선호한다. 그곳에서 일이 잘 풀린다면 정말 축하할 만한 것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서 우리 측 구역에 있는 “Peace House/Freedom House(평화의집/자유의집)”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판문점이 특정 국가에 속한 도시가 아니고, 유엔군사령부가 관할하는 ‘제3의 경계 공간’이란 특징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 정부 내부에서는 판문점에서 남북정상회담이 한차례 치러진데다, 북미정상회담에서 한국 정부 역할이 두드러져 보일 수 있다는 염려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도 판문점 개최와 관련, 확정된 것은 아직 없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이 제안했다기보다는 두 정상간 ‘북미정상회담 개최지로 어디가 좋겠느냐’고 이야기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가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미정상회담 판문점 개최를 설득했다’는 외신 보도에 대해 “‘설득했다’ 또는 ‘권했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