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아침] 유네스코와 한국의 세계유산

임봉대.jpg
2018년은 한국이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에 가입한 지 30년이 되는 해다. 현재 유네스코에 등록된 한국의 세계유산은 1995년에 등재된 종묘, 석굴암과 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을 포함한 12곳이며, 경기도에는 수원화성(1997년), 강화·고창·화순 고인돌 유적(2000년), 남한산성(2014년) 등 세 곳이 있다. 그리고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을 포함한 16개가 대한민국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1972년에 제정된 세계유산협약에는 자연을 환경인 동시에 유산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였는데, 한국에서는 2007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및 한라산이 자연유산으로 유일하게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있다. 유산의 개념이 훌륭한 건축 유산부터 자연경관을 포함하고 최근에는 산업시대의 유산과 현대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넓혀지고 있다.

 

세계유산협약은 뛰어난 보편적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을 보호하여 후대에 물려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네스코에 지정된 세계유산이 전쟁이나 분쟁으로 인해 고의적으로 파괴되기도 하였는데, 아프가니스탄의 거대 불상, 알레포의 구시가지와 성채, 시리아의 팔미라 등 다수의 세계유산이 파괴되거나 훼손되는 일이 발생하였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아랍지역센터 무뇌르 부슈나키(Mounir Bouchenaki) 소장은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은 훼손된 유산의 복구를 지원하고 분쟁지역에 있는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여 왔다”며 “현재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도전과제에 대응하고 있다”고 말한다.

 

최근에는 유산과 관련된 기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권침해와 같은 연관가치를 반영하려고 노력한다. 독일의 경우 에센시 졸라페인 탄광에 강제노역한 사실이나 홀로코스트로 인한 나치 시대의 희생자들을 기억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마련해 오고 있다. 반면에 일본은 2015년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등재와 관련한 군함도의 조선인 강제노역을 사실상 인정하지 않고 있다.

 

유엔인권위원회는 2009년 ‘진실을 알 권리를 존중하고 보장하는 것의 중요성’에 관한 결의안(A/HRC/RES/12/12)을 채택하였는데, 오사카 대학 국제 공공정책 대학원 아키이사 마츠노(Akihisa Matsuno) 교수는 “과거의 잔학행위를 부정하거나 부인하려는 의도로 기억의 유산을 파괴하거나 변화시키려는 시도가 발생할 때 기억의 유산에 대한 보존 노력은 절대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국가는 기억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보존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한다.

 

한국의 세계유산은 우리 고유의 자연과 역사, 사회와 문화를 가장 잘 반영한 것이며, 가장 한국적인 것이 인류가 공동으로 보존해야 할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닌 세계유산이다. 유네스코에 등재된 세계유산뿐만 아니라 우리 주변의 자연유산 보존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고유한 문화를 잘 보존해야 한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탄압받은 역사를 바로 세우고, 인권침해와 관련한 기록물도 잘 보존하여 공동 기억의 소멸이나 왜곡을 방지하도록 해야 한다.

 

임봉대 인천시 박물관협의회 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