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대, 강남대 등 공정한 입학전형으로 고교교육 정상화를 유도했다는 평가를 받은 68개 대학이 정부로부터 559억 원을 지원받는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2018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은 대학이 고교교육을 내실화하고 학생·학부모의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입학전형을 개선할 경우 2년간 입학사정관 인건비, 전형 연구·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연령 등 불합리한 지원자격 제한을 없애고 출신고교 블라인드 면접 도입을 유도하는 등 전형 단순화와 공정성에 대한 평가를 강화했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대입전형 개선 대학(유형Ⅰ)과 모집인원이 2천명 이하인 지방(서울·경기·인천 제외) 중소형 대학(유형Ⅱ)으로 사업 유형을 나누고, 이 가운데서도 대학 소재지와 규모, 특성 등에 따라 그룹을 분류해 평가했다.
유형Ⅰ로는 서울대·경희대·고려대·공주대·인하대 등 62곳(536억 원 지원)이, 유형Ⅱ로는 군산대·대구한의대 등 6곳(17억원)이 선정됐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30개교(282억 원), 지방 38개교(271억 원)가 지원받는다. 이처럼 대학에 직접 지원하는 금액이 553억 원이며 나머지 6억 원은 사업관리비로 사용된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