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장 여야 후보들, 중소기업 정책 놓고 신경전 넘어 설전

박남춘 “4년간 기업정책 실종” vs 유정복 “부채 갚고 경제성장”
박 “전·현직공무원 선거운동 동원 고발할 것” 성명서
유 “명백한 허위사실 유포 범죄 행위” 선거전도 확전

▲ 6·13지방선거 후보 등록을 앞둔 마지막 주말휴일인 20일 인천시장 출마 후보자들이 저마다 표심잡기 활동을 이어갔다.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인천시장 후보가 서림, 중앙, 송림, 창영 초교 동문회 연합체육대회 행사가 열린 연수구 중앙초교에서 지지자들과 함께 하고 있다(왼쪽 사진). 한편, 남구 주안동 선거사무실에서 복지정책 공약 발표를 마친 자유한국당 유정복 인천시장 후보가 지지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장용준기자·유정복후보 선거사무실 제공
“지지해주세요” 6·13지방선거 후보 등록을 앞둔 마지막 주말휴일인 20일 인천시장 출마 후보자들이 저마다 표심잡기 활동을 이어갔다.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인천시장 후보가 서림, 중앙, 송림, 창영 초교 동문회 연합체육대회 행사가 열린 연수구 중앙초교에서 지지자들과 함께 하고 있다(왼쪽 사진). 한편, 남구 주안동 선거사무실에서 복지정책 공약 발표를 마친 자유한국당 유정복 인천시장 후보가 지지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장용준기자·유정복후보 선거사무실 제공
6·13 인천시장 선거에 나선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자유한국당 유정복 두 유력 후보가 정책과 선거운동 방식 등으로 놓고 날카로운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박남춘 후보는 지난 18일 2018 인천 중소기업인 대회 인사말 자리에서 4년간의 인천시정에 중소기업 정책이 실종됐다며 포문을 열었다. 박 후보는 “인천시장 출마를 선언하고 공약을 준비하며 보니 4년간 인천시정에는 기업정책이 거의 없었다”며 “중앙정부의 예산을 받아 집행하는 2차 보전 정도에 그쳤다”고 날을 세웠다.

 

박 후보는 이어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을 인천지역에서 구체적으로 실현하겠다”며 현 정부와의 동반 행보를 강조했다. 그는 “대기업 성장에 집중하는 낙수 효과는 실패한 정책으로, 문재인 정부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을 성장시켜 경제의 중심으로 세우려는 방침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 자리에서 제시한 인천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의 요청을 잘 받아 획기적인 기업정책을 시정으로 펼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뒤이어 발언에 나선 유정복 후보는 박 후보의 주장을 즉각 반박했다. 유 후보는 “4년 전 취임 후 일자리경제국을 신설하고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을 육성하는 소상공인정책과를 만들었다. 인천에 경제정책이 없다는 것은 잘못된 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저는 소상공인·중소기업인들을 선대위 공동위원장에 임명하는 등 말이 아닌 실천에 나서고 있다. 경제는 수치로 이야기해야 하는데 지난 4년간 인천시 채무를 갚아 부채도시 오명에서 벗어났을 뿐 아니라 인천지역 GRDP가 서울에 이어 2위에 오르는 등 확실한 경제성장을 이뤄냈다”고 조목조목 반박했다.

 

유 후보는 이어 전체 공무원 수를 증가시키겠다는 문재인 정부에도 비판의 날을 세웠다. 그는 “공무원을 17만명으로 늘리면 정년뿐 아니라 정년 이후까지 엄청난 재원부담을 감당할 수 없다”며 “공무원을 늘려 일자리를 만든다는 것은 정당한 정책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두 후보는 선거 방식을 놓고도 신경전을 이어갔다.

박 후보는 20일 성명서를 통해 유 후보 공무원 동원 선거운동 의혹을 거듭 제기했다. 그는 “유 후보는 지난 15일 당시 현직 공무원 신분인 A·B씨 명의로 전직 공무원들의 캠프 정책위원을 제안하고 아예 SNS 단체방에 선거지원 전공명단을 발표해 퇴직공무원들을 노골적으로 선거운동에 투입했다”고 비판하며 “현직 공무원의 선거 중립이 훼손되면 선거법 위반으로 고발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17일 박 후보측이 ‘유정복 후보가 퇴직 공무원 동원령을 내렸다’는 성명을 발표하자 유 후보측이 18일 반박하자 이를 재 반박한 것이다.

 

유 후보는 18일 성명 통해 “논평이 나온 후 확인해 보니 박 후보 측이 인용한 SNS 단체방은 한 퇴직공무원이 개인적 친분이 있는 선후배들을 초대해 만든 것으로 이 방에는 유 후보가 포함되지 않았는데도 유 후보가 직접 ‘동원령을 내리고’,‘특별보좌역 임명’을 약속했다고 적시하고 있다“며 ”이는 명백한 허위사실 유포의 범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