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문 “모두 반영”… 박·김 “법률적 면밀 검토 필요”
6·13 인천시장 선거 여·야 예비후보들이 시민사회단체가 제안한 지역 현안과 정책 과제의 공약 반영 여부를 두고 뚜렷한 온도차를 보였다.
인천경실련과 YMCA는 23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가 제안한 총 25개 공약에 대한 민선7기 인천시장 후보별 채택 여부 답변 결과 자유한국당 유정복 후보와 바른미래당 문병호 후보가 모든 공약을 체택하겠다고 답한 가운데 정의당 김응호 후보는 18개,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후보는 13개 공약을 채택하되 나머지 공약은 검토해 보겠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박 후보는 제안 공약 중 해운항만산업 균형발전특별법 제정·경인고속도로 통행료 폐지·청와대 해양수산비서관 부활·국가공기업에 지방정부의 경영권 참여 보장·해사법원 본원 인천 유치·공유수면 매립 권한 이양·물이용 부담금 폐지 등의 ‘좀 더, 면밀한, 법률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김 후보는 항만·공항·경제자유구역 등 수도권 규제 제외와 국가공기업에 지방정부의 경영권 참여보장 등 제안 공약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와 달리 유,문 예비후보는 제안된 모든 공약을 채택하기로 했다.
두 단체는 정부 정책의 ‘부산 쏠림현상’ 등 인천과 부산이 고민하고 있는 현안과 국가공기업에 시의 경영권 참여 등 중앙정부의 ‘갑질’로 인천이 피해보고 있는 현안등을 제시 했지만, 박 후보가 소극적인 생각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반면에 유 후보는 대다수 제안 공약이 민선6기 시정운영 당시 현안이었고 역대 정부에서도 다뤘던 현안이기에 상황인식이 남다를 수 있었다는 게, 문 후보는 지역에 기반을 둔 오랜 정치 경험에서 나온 답변이라는 게 두 단체의 분석이다.
이와 관련, 박 예비후보는 성명을 통해 “이번 공약 제안은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매우 사려 깊지 못한 것”이라며 “공약을 제안한 단체는 ‘해양수도 부산 건설’을 공약한 문재인 대통령을 의식해 나를 폄훼 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인천항을 살리고 동북아 최고의 해양도시로 발전시키려면 지엽적인 논란으로 부산, 광양 등 타 지역을 자극하기 보다는 인천항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를 설득, 국비 등 지원을 이끌어 내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후보는 “인천으로서는 반드시 필요한 사업들을 망라한 것이기 때문에 특별히 더 검토를 할 이유가 없었다”며 “예를 들어 해사법원 유치,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폐지, 국립해양대학 건립 등은 인천에서 꼭 필요한 사업이다. 25개 항목 모두 뺄 게 없고 인천에서 다 필요한 사업이라고 생각해 모두 반영키로 했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