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 수도권 및 중부권의 대(對)중국 교류와 권역 경제성장의 거점 항만인 평택ㆍ당진항이 2022년까지 1천663억 원을 투입해 국제여객부두와 여객터미널을 새롭게 단장된다.
해양수산부는 평택·당진항 여객 터미널의 시설부족에 따른 이용객의 불편 등을 해소하기 위해 평택·당진항 국제여객부두 건설공사를 30일 착공한다고 29일 밝혔다.
평택·당진항에는 현재 영성(396km), 위해(440km), 일조(713km), 연운(733km), 연태(505km) 등 한-중 5개 여객 항로가 개설돼 연간 48만 명의 여객과 22만TEU의 화물을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연면적 6천128㎡의 터미널과 부유구조물로 만든 접안시설 2선석으로 운영되고 있어 여객선 이용에 불편이 따르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시설개선을 위해 2006년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2008~2014년 민간투자 유치를 추진해왔으나 민간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아 2014년 재정투자사업으로 전환했다. 이후 실시설계용역(2015~2017년)을 거쳐 올해 5월 말에 공사를 착공하게 됐다.
이번에 착공하는 국제여객부두는 3만 t급 카페리 등 국제여객선 4척이 동시 접안이 가능한 시설을 갖추었으며, 국비 1천116억 원이 투입된다. 이 시설이 2022년에 완공되면 연간 61만 명의 여객과 25만TEU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해수부는 평택· 당진항 국제여객부두 공사와 병행해 총사업비 547억 원을 투입해 연면적 2만 2천151㎡ 규모의 국제여객터미널 1동 및 부대시설 1식이 들어가는 여객 터미널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여객 터미널은 현대적 감각과 실용성, 상징성을 두루 갖춘 복합여객터미널 형식으로 추진하며, 2019년까지 설계를 완료하고 2020년 착공해 부두시설 완공시기에 맞춰 완공할 계획이다.
김명진 해수부 항만개발과장은 “평택·당진항 국제여객부두 및 터미널 사업이 완료되면 한·중 교역 확대와 이용객 편의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