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오지 백령도 소형공항 건설 ‘청신호’

정부, 항공교통 이동권 보장 제도개선 연구 착수 ‘관심 집중’
교통수단 선박에만 의존 도서 소형항공운송사업 활성화 포함

정부가 항공교통 이동권 보장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에 착수한다. 특히 연구 내용에 선박 이외에 대체교통수단이 없는 도서지역 주민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소형항공운송사업 활성화를 포함하고 있어 비슷한 처지에 놓인 서해5도 주민들을 위한 백령도 소형공항 건설사업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는 6일 ‘항공교통 이동권 보장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용역’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용역은 장애인이나 임산부 등 교통약자들이 항공교통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불편을 겪고 있어 국내 항공사 및 공항의 서비스 제공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된다.

 

특히 용역은 현재 설계 진행 중인 울릉도·흑산도 등 도서지역 소형공항 건설사업과 관련해 선박 외 대체교통수단이 없는 도서지역 주민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소형항공운송사업 활성화를 명시하고 있어, 용역 결과에 따라 인천시가 추진해온 백령도 소형공항 건설사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는 용역을 통해 울릉·흑산도 등 주요 도서지역 항공교통서비스 여건을 조사하고 도서지역 항공교통서비스 기준을 제시할 예정이다.

 

백령도 신공항 건설사업은 옹진군 백령면 솔개지구 일원에 50인승 항공기가 뜨고 내릴 수 있는 소형공항 건설이 핵심이다. 오는 2023년까지 활주로와 관제탑, 여객터미널 등 공항시설을 건설하겠다는 사업으로, 사업예산은 1천154억원 가량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인천시는 올 상반기 국방부와 합참, 공군본부, 해병대사령부 등 군 당국과 사전협의를 거쳐 월경대책 및 비행금지구역 내 민간 항공기 운항 절차를 논의했다. 이르면 올 하반기 국토부를 거쳐 기재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의뢰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특히 6·13 지방선거를 코 앞에 두고 여야 인천시장 및 옹진군수 후보 대다수가 백령도 신공항 건설사업을 주요 공약으로 내건 만큼 다음달 민선 7기 지방정부 출범 이후, 사업 추진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국토부는 관련 용역수행을 포함해 올 하반기까지 교통약자 항공교통 편의기준을 마련, 그 기준을 확정·고시할 계획이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