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사면초과’…지난해 수익 증가율 1.0%로 6년 만에 최저

지난해 560만 자영업자들의 수익 증가율이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주로 영세 자영업자의 수익을 의미하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영업잉여 증가율이 지난해 1.0%에 그쳤다. 이는 지난 2011년 0.7%를 기록한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영업잉여 증가율은 2013년 2.9%, 2014년 1.9%, 2015년 2.1%, 2016년 2.3% 등 2% 내외에 머물다 지난해 뚝 떨어졌다.

 

지난해 음식점 생산은 중국인 관광객 감소 등 악재가 겹쳐 3.1% 줄었다. 2000년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율이다. 음·식료품 소매업 생산도 9.2% 줄었으며, 감소 폭은 2001년(-9.4%) 이후 16년 만에 가장 컸다. 이밖에 학원업 생산은 2009년 이후 9년째 뒷걸음질이며, 문방구ㆍ슈퍼마켓 등 골목상권도 최근 3년 연속 마이너스다.

 

자영업 쇠퇴의 원인은 저성장 기조에 따른 소비 위축,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논란으로 촉발된 중국인 관광객 감소 등이 꼽힌다. 청탁금지법, 최저임금 인상에 이어 주 52시간 정책도 자영업의 발목을 잡는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지난해 기준 자영업자는 총 568만 2천 명으로 전체 취업자(2천672만 5천 명)의 21.3%를 차지했다. 자영업자 비중은 꾸준히 줄어들지만 10% 내외 수준인 선진국과 비교하면 여전히 작지 않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