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투표율 꼴찌 오명에서 벗어나야

13일 치러질 전국 지방선거가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회담 등에 가려져 관심을 받지 못하는 가운데 지난 주말에 사전선거가 실시됐다. 정책선거가 실종되고 저조한 관심 속에서 치른 사전선거 결과는 예상보다 높은 투표율을 보여줬다. 그러나 인천은 예외 없이 전국평균 20.1%에 훨씬 못 미치는 17.6%로 전국 시·도 중 14위로 꼴찌권의 오명을 벗어나지 못했다.

인천의 역대 지방선거 투표율은 1995년 제1회 62.0%(전국 평균 68.4%), 1998년 제2회 43.2%(52.7%), 2002년 제3회 39.4%(48.8%), 2006년 제4회 44.2%(51.2%), 2010년 제5회 50.9%(54.5%), 2014년 제6회 53.7%(6.8%)로 전국 시·도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총선과 대선에서도 인천 투표율은 전국 17개 시·도 중 13위가 최고기록일 정도로 하위권을 맴돌았다. 2008년 18대 총선 땐 42.5%로 15위, 2012년 18대 대선 땐 74.0%로 14위, 2016년 20대 총선은 55.6%로 14위, 2017년 19대 대선 땐 75.6%로 13위에 그쳤다.

이러한 낮은 투표율에 대해 여러 가지로 그 원인을 진단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 특성에 따른 주민의 낮은 관심과 정치에 대한 실망일 것이다. 인천 토박이가 별로 없고 호남과 충청을 중심으로 외지인들이 많아 애향심과 지역인물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또한, 서울에 인접하여 서울 의존성이 높고 서울 지향성 때문에 지역 정치보다는 중앙정치에 더 관심을 두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인천시 기획관리실장을 역임한 한 국회의원의 방송 출연 발언은 망언임이 분명하면서도 씁쓸한 뒷맛을 남기게 한다. 지방자치는 지역주민이 주인으로 내 지역의 살림을 꾸려갈 일꾼을 내 손으로 뽑고 그 결과에 책임을 지는 제도다. 올바른 지방자치의 출발은 일꾼을 제대로 뽑는 지방선거이며 지방선거에 따라 결과와 성과도 좌우된다. 지역 특성을 잘 파악하고 주민의 수요에 부응하는 참된 일꾼을 내 손으로 뽑아 당당하게 대표하도록 하고 힘을 실어줘야 지역이 발전할 수 있다.

인천은 인구 300만을 넘고 부산시를 넘보는 광역시로 그동안 저조한 투표율을 떨쳐버리는 참여정신이 필요하다. 스스로 당당하게 참여하고 주인으로서 역할을 다 할 때 우리의 자존심을 지킬수 있다. 서해안 평화 협력시대를 책임지고 선도하여 국가 성장을 주도하는 인천시민으로서 정당한 투표 권리를 다 함께 실행하는 당당함과 떳떳함을 보여주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