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 기부 비중 ↓…최빈곤층보다 비중 낮아

지난해 소득이 중간 수준인 가구가 종교ㆍ사회시설에 기부한 지출 비중이 빈곤층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안정된 중산층이 생계비 충당만으로도 버거운 빈곤층보다 자신을 위해 더 많은 돈을 썼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월평균 가계지출은 331만 6천 원으로 이중 ‘비영리단체로의 이전’ 지출은 8만 4천 원(2.54%)이었다. ‘비영리단체로의 이전’은 비소비지출 항목 중 하나로 교회 등 종교시설이나 사회단체 등에 기부한 금액을 뜻한다.

 

기부금 지출 규모는 가계 소득이 커지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중간 소득 수준의 가계일수록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기부금 지출 비중이 작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기부금 지출은 3만 3천 원으로 전체 가계지출(132만 7천 원)의 2.56%를 차지했다. 전체 평균(2.54%)을 소폭 웃도는 수준이다. 2분위 가구의 기부금 지출 비중은 1분위보다 높은 2.67%(5만 7천 원)였다. 하지만 중산층에 속하는 3분위와 4분위의 기부금 비중은 각각 2.37%(7만 2천 원), 2.43%(9만 9천 원)로 1ㆍ2분위 가구보다 더 낮았다. 이는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기부금 지출은 16만 원으로 전체 가계지출(603만 원)의 2.66%를 차지했다. 이 같은 모습은 중산층이나 고소득자 중심으로 기부 참여율이 빠르게 줄어드는 최근 추세를 반영한 결과다.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 1년간 기부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이들은 2011년 조사 때 응답자의 36.4%였으나 2017년 조사 때는 26.7%로 9.7%포인트 하락했다.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