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지역 섬유업체들이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인해 경영상황이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중소기업중앙회 경기북부지역본부와 경기섬유산업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4월 경기북부 소재 섬유 제조 중소기업 207개를 대상으로 경영환경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근 경영상황에 대하여 ‘어렵다’는 응답이 70.1%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 근로자 비중이 높은 업체에서 어렵다는 비중이 87.3%로 더 높게 조사됐다.
경영상황이 악화 원인으로 중소기업이 최저임금 인상이라는 응답이 86.0%였으며 최저임금 인상에도 경기북부지역 섬유 제조 중소기업 절반(52.7%)이 여전히 인력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영상 가장 큰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 ‘인건비 상승’ (61.8%)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뒤이어 원·부자재 가격상승(27.1%), 대형벤더의 해외공장 자체생산으로 오더급감(21.7%), 국내기업간 과당경쟁(20.8%) 등의 순이었다.
자사의 경쟁력 수준에 대해서는 25.6%가 국내 섬유업체 대비 경쟁력 우위에 있다고 응답했고, 13.5%가 국외 섬유업체 대비 경쟁력 우위에 있다고 평가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법으로는 ‘품질경쟁력 강화’ (46.9%) ‘원가절감 및 채산성 개선’(32.9%), ‘신기술·신제품 개발을 위한 R&D 확대’(19.3%) 등을 꼽았다.
정경은 중소기업중앙회 경기북부지역본부장은 “계속되는 인력난 문제 등이 섬유산업 경쟁력 저하로 이어지지 않도록 섬유업종에 대한 외국인력 고용한도 폐지 등 인력난 해소를 위한 지원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류종우 경기섬유산업연합회 부회장도 “내국인의 섬유기업 취업기피 현상은 기업의 수요가 생산직 등 힘든 직무가 많기 때문”이라며 “이러한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이러한 직종에 취업하고자 하는 내국인에게 근로지원금 등을 타산업과 차등하여 확대 지급하는 것이 필요하고, 외국인 고용한도 폐지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선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