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어지는 국회 공전…원 구성 협상 시동 주목

국회가 6·13 지방선거 이후 각 당의 이해관계로 공전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25일부터 본격적으로 원구성 협상에 나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6월 국회는 지난 1일 시작됐으나 24일까지 단 한차례의 본회의도 열지 못하면서 ‘빈손 국회’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

 

국회는 상가임대차보호법, 미세먼지특별법, ‘판문점 선언 국회 지지 결의안’ 등 각종 법안과 결의안은 물론 다음 달 9일까지 경찰청장 내정자 인사청문 절차까지 마무리 지어야 하는 시급한 과제를 안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여야가 이번 주말을 계기로 원구성 협상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피력, 이번 주 중 원 구성 협상 테이블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인천 부평을)는 지난 22일 한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야당이 내부적인 사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더 이상 원구성 문제를 미룰 수가 없다”면서 “적어도 이달 말까지는 원구성을 마쳐야 한다”고 밝혔다.

 

지방선거 참패로 촉발된 당 내홍 수습에 여념이 없는 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도 같은날 “다음 주부터 후반기 국회 원 구성 협상을 시작하겠다”며 “원 구성 협상과 함께 국회 개헌특위 연장도 관철시켜 못다 이룬 개헌 논의의 마지막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른미래당 역시 25일 원내대표 선출 이후 협상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으며 원내 4번째 교섭단체인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역시 언제든 협상 테이블에 앉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힘겹게 원구성 협상을 위한 테이블이 마련되더라도 국회 의장단 선출과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에 대한 각 당의 이해관계가 첨예한 상태여서 협상에 진통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국회의장을 비롯해 전반기 소속 의원이 상임위원장을 맡았던 기재위, 국토위, 외통위 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관례적으로 여당이 맡아온 운영위, 정보위 등을 노리고 있는 반면 한국당은 민주당이 목표로 한 상임위원장 자리를 사수하겠다는 입장이다.

 

바른미래당은 국회부의장 1석과 의원수 비례에 따른 2석의 상임위원장을 내심 기대하고 있고, 전반기 교문위·산자위 위원장을 차지했던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역시 해당 위원장직 사수를 목표로 하고 있어 치열한 줄다리기가 벌어질 전망이다.

 

김재민·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