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폭염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에어컨 가동으로 인한 화재가 연달아 발생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24일 국가화재정보센터에 따르면 에어컨 화재는 지난 2015년 138건, 2016년 222건, 2017년 207건 등 최근 3년간 567건 발생했다.
올해에도 안산 상록구에서 지난 13일 오전 10시께 한 아파트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가 전기배선으로 접촉 불량이 일어 화재가 발생했다. 앞서 지난달 19일 오후 4시50분 안양 동안구에서도 한 상가 에어컨 실외기에서 불이 나 점포와 건물 관리인들이 물을 뿌려 불을 진화하기도 했다. 이날 화재 역시 7년 전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 전선이 손상돼 피복에 불이 붙어 시작된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소비자원이 2014년부터 2016년까지의 에어컨 화재 472건을 분석한 결과 63.3%인 299건이 실외기에서 발생했다. 이에 소방 관계자들은 피복이 벗겨지지 않았는지 미리 점검하고 제때 교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한다. 또 에어컨이 전력 소모가 큰 만큼 다른 가전제품과 한 콘센트를 쓰는 것보다는 단독 콘센트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조언한다. 실외기 뒷면도 주기적으로 청소해 먼지나 이물질을 빼야 과열을 막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경기도재난안전본부 관계자는 “실외기 내·외부와 전원선 연결부위의 먼지를 깨끗이 닦아내는 등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며 “직사광선에 의한 과열을 막기 위해 가림막을 설치하고, 공기 순환 및 열 방출을 위해 환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장기간 가동하지 않은 실외기는 전문가의 점검을 받은 후 사용해달라”고 덧붙였다.
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