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혁신 전략으로 다양한 혁신주체가 동등하게 참여하는 ‘도시공유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24일 ‘4차 산업혁명 혁신에 성공하려면, 한국형 도시 공유 플랫폼을 구축해야’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국내의 혁신 체계에서 공공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정부 주도의 창업지원과 첨단 도시개발은 그 성과가 미미하며 정부 의존성이 높아 지속가능한 플랫폼 구축, 수익모델 창출, 비즈니스 생태계 형성이 취약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국내 창업비용은 OECD 평균의 4.5배(1인당 GNI 대비 14.5%)로 창업 활성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또 공공 중심의 R&D 사업 추진으로 정부ㆍ대기업 위주의 폐쇄적인 구조가 구축, 공유와 협력 기반의 개방적인 혁신이 어려워 근원적인 문제 해결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연구원은 미국의 스마트시티 플랫폼 GCTC(Global City Team Challenge), 일본의 동경 가시와노하 스마트시티 사례를 제시하며 국내 4차 산업혁명 생태계 변화를 모색했다.
연구를 맡은 이정훈 연구기획본부장은 “국내는 기존의 성장모델에서 벗어나지 못해 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혁신모델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의 성공적인 혁신을 위해 다양한 혁신 주체가 동등하게 참여하는 하이브리드형 조직인 ‘도시 공유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혁신 공유 플랫폼 구축방안으로 다양한 혁신 주체가 참여하는 스마트시티 공유 플랫폼 구축, 창업과 도시개발에서 민간 역할을 강화한 공유플랫폼 구축, 판교 일산 등 테크노밸리와 도시재생 대상지구의 테스트베드화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