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족상잔의 비극이 서린 6·25 전쟁 68주년을 맞이하는 오늘, 무엇보다도 이산가족들의 슬픔은 더 할 것이다. 지난달 기준으로 이산가족 등록자는 13만2천124명인데 이중 7만5천234명이 사망해 5만6천890명이 생존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후 남쪽으로 넘어와 이산가족이 된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6·25 전쟁으로 인해 가족이 다시 합치지 못하고 헤어진 상태로 지금까지 아픔을 겪고 있다.
이들의 꿈은 헤어진 가족의 생사라도 알고 또한 세상을 떠나기 전 가족을 한 번이라도 상봉하는 것이다. 이산가족 생존자의 85% 이상이 70세가 넘는 고령자임으로 남아 있는 시간이 많지 않아 시간이 지나면 영영 만나지도 못하는 이별의 슬픔은 더 할 것이다. 때문에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인도주의적 견지에서 이산가족 상봉과 이를 위한 제도적 확대는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이런 측면에서 지난 22일 남북적십자 대표가 북측 금강산관광지구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회담을 열어 오는 8월20∼26일 금강산에서 남북 각각 100명씩이 참가한 가운데 이산가족 상봉을 진행하기로 합의한 것은 참으로 반가운 소식이다. 이는 그동안 남북관계 악화로 인하여 2015년 10월 이후 중단됐던 남북 혈육들의 집단 상봉이 3년 만에 재개되는 것은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 이후 판문점 선언에서 이산가족 상봉 실시 시기를 ‘8월’이라고 명기했는데, 이를 구체화한다는 측면에서도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산가족 상봉 규모가 남북 각각 100명으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며, 더구나 앞으로 이를 더욱 확대할 것인지 또는 정례화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이 협의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산가족 상봉은 1985년 남측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의 북한 방문이 시작된 이후 지금까지 총 27차례 대면·화상 상봉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상봉 인원수의 제한으로 그리운 가족을 상봉한 사람은 너무도 소수이다. 때문에 대다수 이산가족들은 상봉행사 때마다 뉴스를 TV나 신문을 통해 보면서 아픔을 더했으며, 동시에 이산가족 상봉 확대 또는 정례화를 간절히 원했다.
이런 이산가족의 아픔을 다소나마 덜어주기 위해 무엇보다도 북측이 인도주의 정신에 입각해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더욱 적극적인 행동을 표시해야 된다. 남측은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이산가족 상봉의 확대 내지 정례화를 요구했지만 북측이 이를 응하지 않아 이산가족의 소원을 풀어주지 못하고 있다.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판문점 선언은 속히 이행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후속 조치를 위해 신뢰관계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남북은 이산가족 상봉 인원을 확대하고 또한 단발성이 아닌 정례화를 통해 상호 신뢰관계를 확인할 수 있음을 인식, 이를 조속히 이행해 주기를 요망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