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정 협치위 상설화… 이재명표 ‘직접 민주주의’ 시동

의사결정부터 도민 참여 전문성 높여
인사청탁 근절 의지도… 공정성 강조

1천300만 경기도민의 직접 민주주의를 실현할 ‘민ㆍ관ㆍ정 협치위원회(가칭)’가 상설화 된다. 또 민선 7기 경기도는 사회적 경제ㆍ공유 경제 등 새로운 영역을 각 분야 전문가에게 맡겨 도정의 전문성을 높여 나간다는 복안이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3일 경기도청 굿모닝하우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도민 청원제 및 발안제 등을 통해 직접 민주주의를 실현해 나갈 것이며, 의사결정 단계부터 도민들이 참여하는 가칭 ‘민ㆍ관ㆍ정 협치위원회’를 상설화 하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 인수위는 인수위 내 시민참여위원회의 민선 7기 상설기구화 계획을 현재 추진 중에 있다. 이 지사와 최순영 시민참여위 위원장이 직접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가치ㆍ철학을 공유, 현재 시민참여위의 상설기구화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단계다. 

이를 위해 인수위 측은 조직개편, 조례개정, 예산확보 방안 등을 모색 중이며, 인수위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참여위 활동에 참여할 시민을 모집하고 있다. 향후 시민참여위 일반 도민들은 권역별 타운홀 미팅, 정책 제안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아 도정 운영 파트너로 나서게 된다.

 

이 지사는 이날 평화 부지사의 역할론도 강조했다. 그는 “평화 부지사는 문재인 정부의 남북 평화체계 구축 등의 성공을 위한 협력 모델이 될 것”이라며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 남북 관계는 경기북부 만의 문제가 아닌 만큼 평화 부지사의 역할이 크며, 청와대 및 중앙부처 등과의 소통 등을 위해선 관료 공무원보다는 이 분야의 전문가인 이화영 내정자가 적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사회적 경제와 공유 경제 등 새로운 영역엔 각 분야 전문가를 도정에 참여시켜 전문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 지사는 민선 7기 인사에 대한 자신의 소신도 밝혔다.

그는 “방향성이 같고, 성실하며, 협의 능력을 갖춘 인물이라면 천거 형태도 좋으니 함께 갈 것”이라면서도 “게으르고 자신의 업무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관리자는 같이 가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어 “문제가 없다면 6급 이하의 인사는 연공서열이, 고위 관리자 인사는 발탁이 일정 부분을 차지할 것 같다”면서 “사람이 중요한 만큼 실무선의 소폭 인사를 제외하고는 부시장ㆍ부군수 인사까지 함께 할 생각인 만큼 시간이 다소 걸릴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지사는 특히 “민선 7기에서 ‘인사 청탁을 하면 죽는다’는 인식을 바로 세울 것”이라면서 ‘공정과 정의’를 강조한 뒤, “도민이 존중받고, 공정가치가 바로 세워지는 도정을 위해 함께 하자”고 마무리했다.

김규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