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출산이 현실화되고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유치원 무상교육’이 저출산 극복에 기여할 것이라는 이색적인 설문조사가 나왔다.
한국유치원총연합회(이하 한유총)는 지난 5월15일부터 31일까지 전국의 유치원 학부모 5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유치원 무상교육 실시 관련 학부모 인식조사’ 결과에서 이 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는 ‘유치원 무상교육이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매우 도움” 30.8%, “도움이 된다” 42.5%로 73.3%가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결과는 무상교육이 가계 부담을 많이 덜어줘 저출산 문제 해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또 ‘효과적 유치원 무상교육 방안’에 대해 기존 사립유치원을 활용해 5년 내에 100% 무상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이 더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89.0%에 달했다. 국·공립 병설유치원을 추가 운영해 실시하는 방안은 7.8%에 그쳐 현 사립유치원을 활용한 무상교육 실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무상교육이 시행될 경우 학부모들의 유치원 선택 기준으로 ‘교육시설의 프로그램과 교육내용을 우선 고려하겠다’는 응답이 43.9%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집에서 가까운 유치원 27.7%, 안전한 보호 10.0%, 건강/영양(급식·간식) 8.6% 순이었다. 국·공립 혹은 사립 여부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응답은 2.2%에 머물렀다.
설문조사에 응했다는 한 사립유치원 학부모는 “같은 세금내면서 누구는 무상, 누구는 20만 원을 내라니 우리 아이가 유치원에서부터 이런 차별을 받아야 한다는 것에 분노가 치민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유총 관계자는 “유치원 학부모의 대다수(74%)인 사립유치원 학부모들에 대해서만 무상교육이 되지 않고 있는 현 상황에 대해 학부모들은 이해할 수 없다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는 양상”이라며 전했다.
이어 “연말이면 어김없이 공립유치원에 들어가면 로또 맞았다는 기사가 나오는 것은 그 이면에는 50만 명의 사립유치원 아이들과 학부모들이 차별받고 있으며 공립유치원 40% 확대는 그 차별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대한민국 유아교육의 불평등한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