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경기도내 혁신클러스터가 조성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현재 체계로는 지자체 간 콘텐츠ㆍ기술 중복 투자, 융ㆍ복합 콘텐츠 부재 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경기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도심 내 융복합 R&D클러스터 조성방안’ 보고서를 15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혁신거점을 중심으로 특화된 R&D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개방형 R&D생태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진화 중인 판교테크노밸리가 대표적인 사례다. 그러나 지자체 간 유망산업 유치를 위한 경쟁으로 콘텐츠ㆍ기술 등 중복 투자가 발생하고 있다. 또 기존의 용도지역지구제에 얽매인 융ㆍ복합개발의 제한, 하드웨어 중심의 시설배치로 혁신공간 조성 실패, 융ㆍ복합 콘텐츠 및 전시ㆍ체험기능 부재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라 기술 특성과 수도권 내 지자체별 보유 자원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새로운 혁신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수립ㆍ운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공공 주도하에 콘텐츠와 지원 기능을 결합한 R&D단지 조성, 단지 내 스트리트와 같은 융ㆍ복합개발공간의 특별계획구역 설정으로 단지 활성화 유도 등을 요구했다. 특히 공공성 강화를 위해 R&D단지 조성을 통한 수익을 주민에게 환원하고, 도심 내에 노후화되거나 방치된 공간을 활용한 도시재생형 R&D단지를 조성해 도심활성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세부 과제로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한 新 수도권 혁신클러스터 조성방안 수립 및 ‘제5차 국토종합계획’ 반영 ▲경직적인 용도분리 방지와 콘텐츠 융ㆍ복합 기반의 창의적 공간 조성 ▲R&D, 아이디어 상품화, 해외진출 및 사업화 지원 등 단계별 인큐베이팅 지원시스템 구축 ▲ 도심 내 일상생활과 기술R&D가 결합한 스마트시티 개발 ▲재생형 R&D단지 조성을 통한 노후ㆍ방치자원의 활용과 문화자원화 등이 제시됐다.
이번 연구를 맡은 김태경 연구위원은“경기도형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대규모 자본의 투입이 필요한 경우 민간자본을 활용해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단지를 조성해야 한다”며 “경기도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도심 내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