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노후발전소 운행관리, 경유차량 운행제한, 친환경차량 지원 등 갖가지 노력을 하고 하고 있지만 미세먼지 문제가 좀처럼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으면서 국민들의 불만도 늘어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미세먼지의 심각성은 어느 정도일까?
먼저 환경부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우리나라의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계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아이들과 노인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 기준은 물론, 세계 주요도시 대비 2배나 높은 상황이라고 한다.
급변하는 환경오염과 이에 효과적인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강구해야 할까? 먼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활용하는 선진 사례를 살펴보자.
미국 환경보호청은 오존(O3), PM2.5(초미세먼지) 등의 예측농도를 대기환경지수로 재변환하여 대중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영국의 환경식품농무부는 오존,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등의 예측 농도를 구간으로 나누어 대중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이 모든 서비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빅데이터 분석’이다. IT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의미와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데이터들이 무한하게 생성되고 있으며, 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새로운 의미와 해결책을 찾는 방식이 점차 주목받고 있다.
우리 정부도 손을 놓고 있는 것만은 아니다.
일례로 환경부에서는 ‘에어코리아’라는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대기정보는 물론, 풍향과 풍속을 예측해 각 지역별 대기농도를 예측 할 수 있는 예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여전히 거시적인 관점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좀 더 정교하게 활용하고 분석하여 대응하는 방식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좀 더 발전시킨 ‘빅데이터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각 지방자치단체, 질병관리본부, 기상청, 건강보험공단 등 다양한 외부기관들이 경계를 넘어 서로 소통하고 협력 할 수 있는 CFC(Cross Functional Communication)를 활용하면서 데이터를 정교하게 분석한다면,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에 좀 더 취약한 계층에게 경보문자 메시지, 미세먼지 마스크 제공정보 등을 지역별로 세분화시켜 좀 더 선별적인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민간영역에서는 KT가 선제적으로 나서고 있다.
KT는 통신주 450만개, 기지국 33만개, 공중전화부스 6만개 등 전국 약 500만개의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활용, 전국에 미세먼지 측정 거점 1천500곳을 만들었다. 이 관측망을 통해 수집한 정보로 맞춤형 저감 대책은 물론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와 결합하여 의료·보건·교통 등 타 산업군과의 융합을 통해 수익모델을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 기술로 미세먼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관련기술로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해 보인다.
정부와 산업계가 4차 산업혁명 기술로 미세먼지 절감이라는 공공성뿐 아니라 관련 산업도 발달시키는 두 마리 토끼 잡기에 성공하길 바란다.
권칠승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화성병)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