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황폐화 ‘치매’ 원스톱 지원… 연내 ‘안심센터’ 5곳 신설

인천시, 국비 33억 투입… 동-중-남동구·강화-옹진군 설치
기존 통합정신치매센터 5곳도 국비 43억 들여 ‘안심센터’ 전환

인천시가 치매 조기발견과 단계별 적정서비스 제공을 통한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연말까지 치매안심센터를 5곳 추가로 설립한다.

 

25일 시에 따르면 중앙정부의 치매안심센터 설치 방침에 따라 연말까지 국비 32억9천만원을 들여 통합정신치매센터가 없는 동·중·남동구, 강화·옹진군 등 5곳에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한다. 이와 함께 기존 5곳(서·남·계양·부평·연수구)의 통합정신치매센터도 총 43억원의 국비를 투입해 치매안심센터로 바꾼다.

 

치매안심센터는 정부가 치매국가책임제의 일환으로 전국 252곳에 설치키로 한 것으로 이곳에서는 치매 환자와 가족들이 일대일 상담과 조기 검진, 관리, 의료·요양 서비스 연계 등 통합지원을 받을 수 있다. 치매환자 가족의 정서적 지지 기반이 될 수 있는 카페, 치매 환자의 초기 안정화와 악화 지연을 돕는 단기 쉼터도 마련된다. 상담·관리 내용은 새롭게 개통할 ‘치매노인 등록관리시스템’에 등록돼 전국 어디에서든 유기·연속적으로 관리된다.

 

특히 기존 5곳(서·남·계양·부평·연수구)의 통합정신치매센터도 치매안심센터와 시설과 인력, 조직 면에서 큰 차이 없도록 인력과 시설이 확충된다. 기존 센터는 인력 5~15명이 기준인 데 비해 신설 센터는 의사를 포함해 종사자 수만 평균 30명으로 2~6배나 많다.

 

특히 신설 센터는 치매관리팀만 운영중인 기존 센터와 달리 조기검진팀, 등록관리팀, 가족지원팀, 인식개선홍보팀, 쉼터팀 등 5팀으로 확대된다. 시설·규모 면에서도 기존 센터는 82~165㎡ 규모에 검진실, 프로그램실 등만 운영되지만 신설 센터는 최대 10배 가까이 큰 400~800㎡ 크기에 상담실, 단기 쉼터, 가족 카페까지 마련된다.

 

시는 치매 등급(5등급)을 받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치매 전문시설인 치매주간보호센터를 치매안심돌봄터로 변경하고 그 기능도 강화한다. 치매안심돌봄센터는 옹진군을 제외한 인천 군·구에 13곳이 설치돼 있다. 시는 치매안심센터에 주간보호센터 역할을 담당할 쉼터를 넣었다고는 하지만, 대상자체가 다르기에 올해 자체예산 및 군·구 예산을 투입해 치매안심돌봄센터를 개선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치매안심센터 추가 설립으로 치매의 조기발견은 물론, 적정서비스 제공을 통해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통합 정신건강관리를 통해 시민이 행복한 인천을 만들 수 있게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