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소방본부는 지난 25일 ‘전국 119종합상황실장 영상회의’를 통해 전국 우수사례로 선정된 ‘인천지역 대형화재 상황관리체계’에 대해 발표했다.
26일 인천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번 회의는 최근 재난현장의 상황관리 체계를 점검하고, 초기 상황보고 확립 및 업무체계 개선을 위해 소방청 주관으로 개최됐다. 회의에선 인천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국 재난 상황관리의 보완·개선사항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했다.
올 들어 인천지역에선 6건의 주요화재를 비롯해 총 858건의 화재가 발생, 64명의 인명피해와 약160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사회적으로 이슈가 됐던 인천항 선박, 이레화학, 신안합성 화재 등 대형 재난현장에서는 대규모 공간에 급격히 번진 화재로 인해 피해액은 상당했지만, 신속한 상황판단과 현장대응을 통해 추가적인 피해를 막을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최초 화재접수 당시 상황실에서 신고자와 통화를 통해 장소 특성을 파악하고 대형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초기에 우세한 소방력을 출동시키는 Top-Down 방식 적용과 인천시와 소방청 간 실시간 상황정보공유, 유관기관 동시 상황전파 및 협력체계 구축 등의 추진사항은 전국적으로 모범적인 상황관리 사례로 소개됐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적극적인 예방대책 수립과 화재대응 훈련, 그리고 체계적인 상황관리를 통해 대형화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