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상인들 “대형쇼핑몰 입점, 최저임금 인상 이중고로 벼랑끝에 몰렸다”

▲ 경기도상인연합회(회장 봉필규) 소속 50여명이 26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최저임금 인상의 업종별 차등화 및 대형 쇼핑몰 및 마트의 골목상권 진출 금지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시범기자
▲ 경기도상인연합회(회장 봉필규) 소속 50여명이 26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최저임금 인상의 업종별 차등화 및 대형 쇼핑몰 및 마트의 골목상권 진출 금지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시범기자
경기도내 잇따른 대형쇼핑몰 입점과 관련, 경기지역 상인들이 뿔났다.

 

경기도상인연합회는 26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형쇼핑몰의 줄이은 입점과 최저임금 인상으로 상인들이 벼랑 끝에 몰렸다”고 호소한 뒤 “도내 대규모 쇼핑몰과 마트의 확장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자리에서 연합회는 “오는 2020년 초까지 도내에 새로 진출하는 대형쇼핑몰과 마트는 20여 개에 이르고 대표적인 것이 의왕 백운밸리의 롯데복합쇼핑몰”이라며 “또 안성 신세계 스타필드, 용인 성복 롯데몰, 의정부 엔씨백화점 등도 잇따라 입점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어 연합회는 “현재 우리나라 자영업자 600여만 명 중 30% 정도는 최저생계비 미만으로 생활하고 있고 그 중 월 소득이 100만 원이 되지 않는 자영업자도 74만여 명이 된다고 한다”며 “사정이 이런데도 정치권에서는 방관만 하고 있고 그 사이 유통대기업들은 교묘하게 전통시장과 소규모상권에 침투해 영세상인들을 거리로 내몰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한민국 경제의 한 축을 지탱하고 있는 전통시장 등 소규모상권이 붕괴된다는 것은 대한민국의 경제가 무너지는 것”이라며 “상인들의 생존권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대통령과 청와대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들은 현행 경기도 상권영향분석 및 활용에 관한 조례는 대규모점포의 설치·운영이 도내 2개 이상 시·군 지역상권에 영향을 미칠 경우 도지사가 해당 시·군에 의견개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회는 “도와 각 지자체에서 적절한 조치가 있었는지 확인해 본 뒤 문제가 있다면 법적 대응도 불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연합회는 최저임금 인상과 관련, “최저임금을 올리기 이전에 소상인들에 대한 대책을 세워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시장과 골목 상점가는 공휴일에 집중해 장사를 하는 만큼 시급의 1.5배를 지급해야 해 벌써 시급이 1만 원을 훌쩍 넘었다”며 “최저생계비도 못 버는 상인이 속출하고 있는데 시장의 현실을 무시하고 고공행진하는 인상안에 대해 차등 적용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봉필규 경기도상인연합회장은 “최저임금을 올리는 것도 벅찬데 대형복합쇼핑몰로 생활의 터전마저 잃게 돼 이중고,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며 “말로만 서민경제 활성화를 외치지 말고 묵묵히 자기 맡은 일만 하는 상인들이 거리로 뛰쳐나오지 않게 해달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