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늑장 대응’ 온열질환자 속출
당사자에 ‘책임 전가 발언’ 비난
“무더위 속에 돌아다니는 도민들이 문제다”
경기도의 ‘폭염 늑장 대응’으로 온열질환자가 속출하는(본보 27일자 1면) 가운데 경기도 재난대책 총괄담당자가 온열질환자 발생 원인으로 당사자들의 안전 불감증을 지목, 논란이 일고 있다.
29일 ‘경기도 폭염 대처 상황보고’에 따르면 올해 경기지역 온열질환자는 지난 25일까지 253명이 발생한 데 이어 26일 21명이 추가로 발생, 올해 누적 질환자만 274명에 달하고 있다. 이처럼 ‘폭염 사태’가 심화하는 상황에서 도 재난대책 담당자 A씨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기는커녕 피해자들의 인식을 문제 삼으며 비난을 자초했다.
A씨는 지난 26일 ‘도의 폭염 늑장 대응’을 지적하며 관련 추가 대책을 묻자, “(대책도 중요하지만) 우리나라 국민이 안전 불감증”이라며 “(무더위 속) 아침부터 운동하고, 어르신들도 자꾸 돌아다니시는데 밭에서 풀 뽑다가 돌아가신다”고 밝혔다.
하지만 A씨의 발언과 달리, 실제로 온열질환자의 절반 이상은 어쩔 수 없이 외출하거나 실내에서 최대한 조심한 상황에서 발생한 생계형 질환자 및 실내 발생 질환자로 나타났다. 도 폭염 대처 상황보고 내 ‘증상발생 장소’를 보면 전체 274건 중 작업장 32.8%(90건), 실내 21.8%(60건), 논밭 7.3%(20건) 등이 약 60%를 차지했다.
결국 단순 인식 전환보다는 무더위를 불가피하게 견디면서 생활하는 공사장 인부, 밭일하는 노인, 냉방용품 없는 곳에 거주하는 취약계층 등을 보호하기 위한 작업장 관리 감독 강화, 취약계층 대상 냉방용품 지급 등 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A씨는 “(26일 발언은) 도에서 폭염 대책 마련에 노력을 기울이는 만큼 도민들 역시 안전에 유의해줬으면 하는 마음에서 한 말”이라고 뒤늦게 해명했다.
이와 관련, 김정훈 도 안전관리실장은 “(A씨의 발언은) 도의 공식 입장이 아닌 잘못된 발언”이라며 “도 폭염 TF팀은 도민 안전을 위한 다각적인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승구ㆍ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