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원유철 의원(5선, 평택갑)은 지난 1일 주한미군사령부가 서울 용산에 주둔한 지 73년 만에 평택으로 이전해 새 둥지를 튼 것에 대해 “평택은 한·미 동맹의 상징도시가 될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주한미군은 지난달 29일
용산에 주둔한 지 73년 만에 평택 캠프 험프리스로 옮겼다. 이로 인해 평택은 동북아시아를 관통한 외교적 가교 역할뿐만 아니라 평화의 소통 창구로 거듭날 전망이다.
원 의원은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비핵화, 한반도 비핵화라는 절체절명의 시대적 과제 앞에 평택의 주한미군 주둔은 핵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한반도 평화와 안전은 물론 동북아 세력의 균형추 역할을 맡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원 의원은 정부와 손잡고 주한미군의 평택 재배치가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정책적 뒷받침을 해왔다고 소개했다.
그는 “미군 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지원 법안인 평택지원특별법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데 지속적으로 힘 써왔다”며 “특히 평택에 국제화 신도시를 조성해 주거 및 상업시설들이 순차적으로 입주할 예정이며 서울과 전국으로 통하는 교통 인프라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남북·북미정상회담과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 주한미군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주한미군은 회담 의제가 아니라 한미 간 동맹 차원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원 의원은 한미연합훈련 중단에 대해서도 “북한에 사인을 준 것”이라며 “우리가 선 조치를 보였으니 하루빨리 북한 비핵화에 대한 가시적 조치와 로드맵을 만들어 진행하라는 메시지를 함께 보낸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원 의원은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가시화시키지 않고 시간끌기용으로 간다면 한미연합군사훈련은 반드시 재개해야 한다”면서 “북한은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조치에 대한 화답을 하루빨리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국당 내 ‘핵 포럼’을 이끌며 ‘핵 무장’을 주장한 바 있는 그는 “미국과 북한이 타협해서 (핵 폐기가 아니고) 핵 동결로 간다면 그리고 주한미군이 빠지면 우리는 북한의 핵 인질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확고한 미국의 북한 비핵화에 대한 노력을 더 경주해야 하고 아니면 핵 확장 억제력을 더 갖춰야 된다”고 강조했다.
주한미군 평택 재배치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등에 대해 원 의원은 “평택에 국제화 신도시가 조성돼 주거 및 상업시설들이 순차적으로 입주할 예정”이라며 “새로 오는 주한미군과 가족들이 또 하나의 평택 시민인 만큼 주한미군들과 함께하는 교류의 장을 마련해 그들의 정착을 돕겠다”고 덧붙였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