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 보트전복 사고는 人災… 신곡 수중보 철거해야”

“서울시 나쁜정책이 주민 위협 한강 물길 막아 생태계 파괴”
정치권·지자체·시민들 한목소리

▲ 신곡수중보
▲ 신곡수중보
한강하류 신곡수중보에서 발생한 소방관의 사망사고를 계기로 김포지역에서 신곡수중보를 시급히 철거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14일 정치계와 지자체, 사고 수습을 지켜본 시민 등은 신곡수중보의 철거를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한강하류의 생태계 회복과 시민안전을 위해 신곡수중보의 해체를 주장해 온 사단법인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이사장 윤순영)는 이날 ‘서울시와 문재인 정부는 신곡수중보를 즉각 해체하라’는 제목의 성명을 내고 신곡수중보의 즉각적인 철거를 주장했다.

 

협회는 “이번의 보트전복 사고는 서울시의 자연을 거스른 나쁜 정책이 부른 인재”라고 전제하고 “이제는 결단이 필요하다. 신곡수중보를 제거해야만 한강과 생태환경이 살아나고 한강하구 인근 주민들의 생존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협회에 따르면 신곡수중보는 한강의 물길을 막아섰고, 서해 바다가 밀고 썰며 토사를 실어 나른 강물이 고양시 신평동에서 송포동 이산포까지 길이 7.6km, 폭 600m의 장항습지를 만들어냈다.

 

또 수심을 이용하는 어종의 어로차단과 서식지 파괴가 장기간 이루어졌고 퇴적층 사구가 지속적으로 쌓이면서 유속을 방해해 썰물시 걸어서 강을 건너갈 정도다.

 

이에 협회는 “신곡수중보로 인해 담수화된 녹조현상 및 수질악화가 지속되자 가동보를 개방, 개선효과를 노린다는 발상은 한강하구 지역주민의 생명과 환경을 위협하는 처사”라며 “소방관의 사망원인에 대해 명확히 조사하고 서울시는 신곡수중보 가동보를 전면 개방하는 실증용역 추진계획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또 “서울시는 신곡수중보 건설로 인한 환경훼손에 대해 책임을 지고 한강하구 환경복원 사업을 즉각 시행하고 신곡수중보 해체를 통해 남북 평화의 뱃길을 여는데 적극 동참하라”고 촉구했다.

 

시민들의 반응도 비슷하다. A씨(58)는 SNS를 통해 “두 소방관의 무사귀환을 애타게 기원했다”면서 “서울시와 정부는 이제 더이상 아전인수격 정치논리에서 벗어나 당장 신곡수중보 철거에 나서라”고 게시했다.

 

지역 정계의 목소리도 힘을 보탰다.

 

홍철호 국회의원(한국당ㆍ김포)은 “구조에 나섰던 소방관의 희생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신곡수중보의 철거는 일장일단이 있기 때문에 신곡수중보의 철거와 대안을 찾기 위한 공론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정하영 김포시장은 “생때같은 아까운 소방관을 잃고서 뒤늦게 신곡수중보의 철거를 촉구하는 것이 부적절하지만, 오랫동안 신곡수중보의 철거를 논의해왔는데 이렇다할 결과를 내놓지 못해 깊은 책임감을 느낀다”며 “이제라도 안전사고의 재발방지와 자연생태계 및 물길 복원을 위해 신곡수중보 철거를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