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전국 최초 빈집 실태 파악 및 정비계획 수립

인천시가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최초로 올해 연말까지 빈집(폐·공가)을 파악하고 정비계획을 마련할 전망이다.

 

그동안 서울과 경기 등 타 광역단체는 기초단체별 소규모 실태 파악이 이뤄진 적은 있지만, 광역단위에서 시행되는 것은 인천이 처음이다.

 

20일 시에 따르면 빈집 증가에 따른 심각한 사회문제에 대응하고자 빈집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한다. 이를 통해 시는 연말까지 1년 이상 거주 또는 사용하지 않은 지역 전역의 빈집의 실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빈집에 대한 정비계획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이와 유사한 시스템을 이용해 미추홀구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했던 시는 단순 실태 파악보다는 앞으로의 정비계획을 담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개선하고자 이날 한국감정원과 ‘빈집정보시스템 구축·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한국감정원이 구축하는 빈집정보시스템은 전기·상수도 사용량 정보 등 데이터베이스(DB)와 연계해 빈집 추정대상 추출에 따른 조사표 생성 등 실태조사에 활용된다. 또 빈집 활용을 희망하는 자와 빈집 정보공개(빈집등급, 빈집 공시가격정보)를 동의하는 소유자에게 빈집 정보를 지원하는 시스템도 함께 운영된다.

 

특히 시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빈집 활용 방안을 찾을 방침이다. 인천연구원에서 연구하고 있는 ‘빈집정비계획 수립방향과 연구’를 기반으로 시와 군·구, 한국감정원, LH(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도시공사 등 유관기관과 실무협의체를 만들어 빈집정비사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시 관계자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유발하는 빈집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는 물론, 효율적인 정보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라며 “이를 통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쇠퇴한 도심에 활력을 불어 넣는 등 시민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