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세판에 접어든 화성 국제테마파크 조성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0년 넘게 공전을 거듭한 조성사업에 대해 ‘정상화’를 선언했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23일 이 지사, 서철모 화성시장, 이학수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조성사업의 성공적 재추진을 위한 3자 업무 협약식을 가졌다.
화성 국제테마파크는 송산그린시티 부지 내 동쪽인 화성시 남양읍 신외리 418만9천㎡ 부지에 유니버설 스튜디오 같은 테마파크와 워터파크, 상업시설, 골프장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총 사업비 약 3조 원을 투입, 일본ㆍ중국ㆍ싱가포르 등 아시아 주요 테마파크와 경쟁할 한국의 대표 리조트형 테마파크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앞서 국제테마파크는 두 차례의 사업 무산을 겪은 바 있다. 2007년 도와 화성시, 수자원공사가 사업 시행 우선협상자로 유니버설스튜디오코리아(USK) 컨소시엄을 선정해 추진했으나 시행사의 자금난 등으로 2013년 9월 사업계약이 취소됐다. 이후 2015년 박근혜 정부의 대선공약으로 선정돼 재추진됐으나 지난해 1월 수자원공사가 유니버설스튜디오코리아 컨소시엄과 사업 협약 기한을 연장하지 않기로 하면서 다시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올해 2월 문재인 정부가 ‘현장밀착형 규제혁신 추진방안’으로 화성 국제테마파크를 선정하면서 기사회생의 기회를 얻었다. 이에 수자원공사는 3월 연구용역을 실시했으며, 9월까지 구체적인 재추진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어 내년 상반기 사업시행자를 선정하고, 토지계약 및 인허가 등의 절차를 거쳐 오는 2021년 착공할 예정이다.
국제테마파크 조성시 1만여 명의 직접 고용 효과가 유발되며, 연간 1천500만 명의 관광객이 유치될 것으로 보인다. 또 서해안 평화관광벨트 사업의 중심지로서 도내 서비스산업 활성화에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지사는 “화성 국제테마파크 정상화를 바라는 도민의 열망이 지난 10년 동안 계속된 계획수립과 수정, 협의, 법 개정의 과정을 거쳐 사업 재정상화로 이어졌다”면서 “이 자리에는 지역주민 대표도 있는 데 도는 도민과 약속을 지키는 파트너로서 사업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며 테마파크가 서해안 관광벨트의 구심점이 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철ㆍ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