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김달수 의원(더불어민주당ㆍ고양10)이 연정합의문에 근거한 ‘DMZ청’ 설치를 제안했다.
김달수 의원은 28일 제330회 임시회 5분 발언에서 “지난 민선 6기 경기도 연정 당시, 288개 연정 정책합의문에 ‘DMZ를 체계적으로 보존ㆍ관리하고 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경기도가 중앙정부 및 강원도와 함께 DMZ청 설치를 추진한다’는 조항이 담겨 있었다”며 “최근 평화적 남북관계가 복원되고 종전선언이 임박하면서 이 조항을 불러내 다시 한번 ‘DMZ청’ 설치를 제안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4ㆍ27 판문점 선언에서 남북 두 정상은 비무장지대를 실질적인 평화지대로 만들어 나가기로 합의했다. 이제 이 특별한 공간의 가치를 보존하고 DMZ가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자산이 될 수 있도록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면서 “지구상에서 단 한 곳 뿐인 DMZ를 난개발로부터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DMZ 지역을 방문한 전체 관광객 중 외국인의 비중이 62%에 달하고 드라마 ‘태양의 후예’가 인기를 얻은 이후 중화권과 동남아 관광객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며 “DMZ를 역사와 평화, 인문의 공간을 주제로 한 체류형 국제 관광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경기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DMZ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정부가 협력하는 통합적 거버넌스 체계가 중요하고 가칭 ‘DMZ관리청’과 같은 전담조직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면서 “DMZ를 국제적인 자산으로 보존 및 관리, 이용하기 위해서는 경기도와 강원도, 중앙 정부가 공동으로 DMZ를 총괄 관리하는 콘트롤타워를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일원화된 기구인 ‘DMZ청’을 설립할 것을 다시 한번 제안한다. 여기에 북한까지 참여하면 ‘국제DMZ청’의 위상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를 위해서는 경기도 조직개편안에 담긴 ‘DMZ정책과’로는 부족하다”며 “담당 업무도 정책을 넘어 자원조사와 관리, 이용까지 포괄적으로 재설정하고 본부 또는 기획단 형태로 특화 및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