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의 주역 ‘인천항’] 글로벌 허브항만 향한 ‘꿈의 항해’

환서해 물류거점-해양관광의 메카 ‘시동’

인천항 야경
인천항 야경
대한민국 수도권의 관문 인천항이 세계가 주목하는 항만으로 비상하기 위해 힘찬 날갯짓을 하고 있다. 

 

인천항은 현재 인천신항을 개장해 운영하고 있으며, 신국제여객터미널 및 크루즈터미널 개발 등이 한창이다. 

 

배후부지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인천항은 더욱 많은 배와 화물이 찾는 환서해권의 중심물류거점 및 더 많은 세계 관광객이 찾아오는 ‘동북아시아 대표 해양관광 메카’로 자리매김 하게 될 것이다.  

 

인천항은 2016년에는 268만TEU를 처리해 글로벌 57위 컨테이너 항만이었으나, 2017년에는 305만TEU를 처리해 8계단이나 상승한 세계 49위 컨테이너 항만으로 성장했다.

 

특히, 2025년 이내 연간 ‘400만TEU’를 처리하는 세계 30위권 항만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신규 부두시설 확충과 항만 배후단지 공급, 신국제여객터미널 및 크루즈 전용 터미널 건설 등 항만 인프라 적기 공급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천신항은 1-1단계 컨테이너 부두 개장 이후 입항선박과 물동량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천신항 1-2단계 컨테이너 부두 개발을 위한 설계를 올해 하반기부터 시작해 2019년 공사에 착공, 2025년 하반기 개장을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다. 

 

제목 없음-3 사본.JPG
▲ 골든하버 조감도, 인천항을 모항으로 출항한 11만4천t급 코스타 크루즈와 아시아 최초 LNG 연료추진 에코누리호 힘찬 항해 모습
인천신항 1-2단계 중 1천m 구간을 조기에 착공해 2025년까지 인천신항의 물동량 처리능력을 417만TEU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신국제여객터미널은 인천 송도 부근 신국제여객부두에 신축중이며, 연면적 6만6천805㎡로 축구장 면적의 9배가 넘는 크기다. 기존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연면적 2만5천587㎡)과 제2국제여객터미널(연면적 1만1천256㎡)을 합친 면적의 2배에 이른다.

 

신국제여객터미널은 다섯 개의 띠 형상의 지붕 구조는 오대양의 파도를 표현한 것으로, 옥상공원이 계획되어 있어 터미널 이용객들과 근로자들에게 쾌적한 근무 여건을 제공하는 등 인천항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한, 신국제여객터미널 인접부지(골든하버)는 국제적인 해양관광문화단지를 조성해 국내외 관광객 유치와 지역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남이섬 만한 면적의 친수공간으로 조성될 골든하버(부지면적 42만7천823㎡)는 복합 쇼핑단지와 리조트 등 레저시설이 들어서고, 바다와 인접해있어 인천시민들은 물론 국내외 관광객들에게도 해양문화의 매력에 흠뻑 빠지게 해줄 명소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목 없음-6 사본.JPG
▲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에서 등대점등 행사 개최.

인접지역에 인천항 크루즈터미널도 건설중이다. 크루즈관광산업은 연평균 성장률이 9.5%에 이를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용증대 등 경제파급효과가 큰 고부가가치산업으로써, 세계무역기구(WTO)에서 선정한 미래 10대 관광산업 중 하나다.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춰, 인천항만공사(IPA)는 기존에 크루즈 기반시설 부재로 인한 인천항 이용객의 불편을 해소하고 원활한 크루즈 여객 처리를 위해 2017년 6월부터 202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인천항 크루즈터미널 신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축구장면적의 약 8배인 5만6천5㎡의 대지에 지상 2층, 연면적 7천364㎡의 규모로 건설되는 인천항 크루즈터미널은 올해 10월에 완공되면 최대 22만5천톤급의 초대형 크루즈선박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글_허현범기자  사진_인천항만공사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