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시민 비율·방법 등 갈피 못잡아
인천시가 시장 직속 일자리위원회의 위원 구성과 신설되는 일자리경제본부 산하 청년정책과 구성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일자리위원회의는 청년 일자리를 비롯한 일자리 관련 이슈를 논의할 수 있는 게이트 키퍼(Gatekeeper) 역할을 맡게 된다.
5일 시에 따르면 ‘일자리 위원회 설치 조례’에 따라 일자리 위원회는 박남춘 시장과 민간위원장이 공동위원장으로 30인 이내의 전문가로 구성된다. 일자리 위원회는 산하에 기업분과·고용분과·청년분과·복지분과 등 4개 분과에 75명 내외의 분과위원(중복 가능)을 둘 수 있는 등 최대 105명의 인원이 모여 일자리 관련 이슈를 다룬다.
시는 다음 달 출범할 일자리 위원회의 위원 구성을 놓고 고심에 빠졌다. 위원 구성에서 인천시의원과 경제단체, 시민단체, 전문가 몫이 자리를 채우는 것은 원활히 진행되고 있지만, 지역 일자리 문제의 중심에 있는 청년(20~30대)과 중년(40~50대) 노인(60대 이상) 등 대표성을 갖는 시민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는 전체 위원 중 이들의 비율을 얼마만큼 정해야 할지, 어떻게 뽑아야 할지조차 갈피를 못 잡고 있다.
시민 위원은 연령별 입장에서 인천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일자리가 무엇인지에 대한 의제를 던질 수 있기에 앞으로 일자리 위원회가 나아갈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일자리 위원회와 함께 신설되는 일자리경제본부 산하 청년정책과도 혼선을 빚고 있다. 청년정책과는 기존 아동청소년과 청년정책팀과 창업지원과 청년 일자리지원 담당 등을 합쳐 청년정책팀, 청년활동지원팀, 창업지원팀 등 1과 4팀 18명의 조직으로 구성된다.
문제는 청년정책이 단순히 일자리에만 한정된 것이 아닌데도 일자리조직 산하에 두는 것에 대한 논란이 공직사회 내부에서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청년문제를 해결하려면 일자리 외에도 주거·양육·복지 등 다양한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일자리 정책은 연령대별 맞춤 일자리는 물론, 여성·장애인 등 상대적 약자에 대한 전반적인 고려가 필요할 정도로 복잡하다”며 “일자리 위원회와 청년정책과 신설 등이 일자리 창출의 교두보가 되는 방안을 찾는데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