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시민단체가 시작하는 평택·당진 상생 프로젝트 / 정치에 찌들었던 과거 이벤트와 다르길 바란다

사단법인 평택당진항 포럼이 출범했다. 평택항ㆍ당진항의 건전한 발전과 미래지향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법인의 목적이다. 법인에 포함된 인사들의 면면에서 이런 목표가 엿보인다. 경기도, 충청남도, 평택시, 화성시, 당진시, 아산시 인사들을 망라했다고 한다. 관할 부처인 해수부로부터 법인 등록이 허가된 것은 5일이다. 평택과 당진 지역의 상생을 목적으로 민간단체가 사단법인 형태로 출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평택항과 당진항의 갈등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고, 한두 가지도 아니다.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오염 문제에 대한 두 지역 간 갈등이 상당하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에서 오는 갈등 역시 뿌리 깊다. 매립지 관리권 문제 및 연륙교 건설 등은 지금도 해결되지 못한 현안이다. 평택당진항 포럼은 이런 갈등을 민간 차원에서 접근하고 정책적 조언을 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우리가 기억하는 ‘경기-충청 상생 협약’의 추억이 있다. 2005년 당시 손학규 경기지사와 심대평 충남지사가 상생협약을 맺었다. 서울 프라자 호텔에서 100여 명의 관계자와 언론이 참석한 가운데 거창하게 시작했다. 그 협약의 첫 번째 약속에 평택항과 당진항 일대 상생 개발이 있다. 하지만, 결과로 이어진 건 아무것도 없다. 그보다는 경기도와 충청권을 대표하는 두 잠룡(손학규ㆍ심대평)의 정치적 행보에 초점이 맞춰졌다.

또 다른 상생 협약은 2006년 7월13일에 있었다. 당시 김문수 경기지사와 이완구 충남지사가 당사자였다. 앞선 ‘손-심 상생협약’을 발전시켜 나간다는 목적하에 4가지 사항에 합의했다. 이 역시 세종시 직할 문제를 두고 두 지사가 충돌하면서 물거품이 됐다. 김 지사와 이 지사도 당시로써는 경기도와 충청도를 대표하는 차기 대권 후보였다. 결국, 두 번의 ‘경기-충청 협약’은 염불보다 잿밥에 관심을 둔 정치가 망친 예정된 결과였다.

이번에 출범한 평택당진항 포럼에 우리가 의미를 부여해 보려는 것도 그래서다. 법인이 밝히고 있는 구상이 평가할만하다. 현재 부각된 문제 외에도 항만문화, 해양레저, 관광기능 등에 대한 콘텐츠 개발을 지원하겠다고 한다. 또 해양안전, 환경, 보안, 항만 노동 문제에 대한 연구조사 토론회도 펴 갈 계획이라고 한다. 적어도 청사진에서만큼은 정치인 위주의 과거 접근과 차이가 느껴진다.

평택항과 당진항은 환 황해권 경제 권역의 핵심이다. 전국 어떤 지역의 접경지보다 상생의 필요성이 절박하다. 이걸 해내지 못하면서 그동안 환 황해권 경제 벨트가 유명무실해온 것이다. 모처럼 정치색 없이 출발한 평택당진항 포럼이 이런 잘못된 과거를 바로잡고 새 역사의 작은 싹을 틔어 가기 바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