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영 평화부지사 평양회담 방북단에 포함 기대
2010년 이후 잠정 중단된 개풍양묘장 재가동 추진
道 기술력·北 노동력 합친 ‘스마트팜’ 사업도 논의
경기도가 임ㆍ농업을 내세워 남북협력사업 물꼬를 튼다. 3차 남북정상회담 방북단에 이화영 평화부지사도 포함될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도가 북한과의 양묘사업, 스마트팜 조성 등을 준비 중이기 때문이다.
이재명 도지사 측근은 12일 “오는 18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되는 3차 남북정상회담 관련, 경기도 측 참가 여부를 정부와 논의하고 있다”면서 “만약 참가하면 경기도 대표는 이 지사 대신 이 부지사가 맡는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같은 기간 중국 톈진에서 개최되는 하계 다보스포럼에 참석, 이 부지사가 도 대표로 평양을 방문하는 것이다. 이 부지사의 방북이 이뤄질 경우 임ㆍ농업 중심의 남북협력사업이 중점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도가 북한과의 협력을 고려한 상황에서 북측에 나무를 심는 양묘사업, 4차산업 기술을 농장 조성에 접목하는 스마트팜 등을 추진 중이다.
우선 도는 남북협력을 위한 양묘사업으로 개풍양묘장 재가동을 추진한다. 앞서 도는 2007∼2010년 북한 개성시 개풍동 6만㎡에 온실 양묘 5곳, 노지 양묘 5곳을 각각 갖추는 사업을 진행해왔다. 해당 부지에는 연간 150만 그루의 나무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해당 사업은 2010년 5ㆍ24 조치 이후 잠정 중단된 상태다. 도는 재가동을 위한 내부 논의를 마쳤다.
이어 북한 지역 내 스마트팜을 조성하는 사업도 추가로 논의 대상에 오르고 있다. 스마트팜은 농사에 사물인터넷ㆍ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접목해 농작물 등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농장이다. 도는 독자적인 스마트팜 기술력과 북한의 노동력을 합쳐 과실을 양측이 공유하는 체계를 구상 중이다. 도는 스마트팜 조성을 통해 남북이 상호간 이익을 얻는 남북협력사업 롤모델 구축을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 부지사는 오는 15일께 중국에서 김일국 북한 체육상을 접견, 도 차원의 남북 체육 교류안을 최종 합의한다. 앞서 이 부지사는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당시 현지에서 김 체육상을 만나 관련 논의를 진행한 바 있다.
이화영 평화부지사는 “협력 사업의 기본은 수뇌부와의 교감”이라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측 산림 내 나무 심기를 강조하고 있는 만큼 경기도가 앞장서서 산림청 등과 중점적으로 협의 중이다”고 말했다. 이어 “(스마트팜 관련) 북한이 식량부족으로 고민하던 시기를 넘긴 만큼 새로운 것이 필요하다”며 “그 방향은 인프라를 새로 구축하는 스마트팜 등 4차산업 모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북한과 3차 남북 정상회담(평양)에 동행할 방북단 규모를 200명 수준으로 합의했다. 이에 청와대는 수행단 구성 등 방북단 참가 범위를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0년 만의 북한 땅에서 이뤄지는 남북정상회담은 2박3일의 일정으로 진행되며, 마지막 날 두 정상의 ‘공동선언문 발표’가 진행된다.
여승구ㆍ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