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무상교복 시대… 교복시장 판도 변화 관심 집중

학교 주관구매제도로… 11만9천여명 현물 방식 지급
교복값 상승 억제·중소 업체 재고부담 덜어 ‘긍정적’

내년부터 전국 최초로 경기도 중학교 신입생이 교복을 현물로 지급받는 무상교복 시대가 도래, 교복시장 판도가 어떻게 바뀔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13일 경기도교육청 및 도의회에 따르면 지난 12일 ‘경기도 학생 교복 지원 조례안’이 의결돼 2019년도 도내 중학생 11만9천여 명에게 1인당 29만 원대의 무상교복이 지급된다. 무상교복은 현물지급 방식으로, 해당 학교가 납품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납품업체가 해당 학교 신입생에게 교복을 납품하고 이에 대한 교복비를 학교에서 지급받는 구조다.

 

경기도의 경우 2017년 기준 도내 총 83%의 학교(공립학교 99%, 사립학교 20%)가 교복 학교주관구매제도에 참여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과반수가 넘는 53%가 학교주관구매를 통해 교복을 구매하고 있다. 학교주관구매는 교육부에서 권고하는 ‘가격상한선 이하’로 나라장터를 통한 입찰을 통해 학교·학부모·학생이 주체가 돼 납품업체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지난 2015년 첫 시행됐다.

 

현재 교복시장은 엘리트학생복, 아이비클럽, 스마트, 스쿨룩스 ‘빅4’ 업체가 90%의 시장을 점하고 있어 경기도의 교복 현물 지급 방식이 교복시장에 큰 지각변동은 없을 것이라는 게 교복업계 측의 설명이다.

 

단, 업계 안팎에선 과점상태인 교복업체의 교복값 상승을 막을 수 있다는 점과 비브랜드 교복업체의 경우 재고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중소 교복 제조업체 150여 곳으로 구성된 한국학생복사업자협의회 관계자는 “전국 공립학교 교복 입찰 가격 상한은 29만 원선으로, 현물 지급방식의 무상교복은 ‘보편적 교육복지 실현’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며 “유명브랜드만 맹신하기 보다는 각 학교에서 A/S, 납품기일, 신뢰성 등 자체적 심사기준을 마련해 다양한 지역업체가 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강현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