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안에 철도·도로 연결 위한 착공식 개최 합의
휴전선에 가로막혀 끊어졌던 남북 간 철도가 이어질 전망이다.
19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9월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남과 북은 상호호혜와 공리공영의 바탕 위에서 교류와 협력을 더욱 증대시키고, 민족경제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들을 마련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공동선언문에 따르면 남과 북은 올해 내 동, 서해선 철도 및 도로 연결을 위한 착공식을 갖는 다.
또 조건이 마련되는 데 따라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사업을 우선 정상화하고 서해경제공동특구 및 동해관광공동특구를 조성하는 문제도 협의해나갈 방침이다.
양 정상이 철도 및 도로 연결,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정상화 등을 논의하기로 방침을 협의하면서 경제계도 고무된 모습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9월 평양공동선언’은 판문점 선언에 이어 한반도의 평화시대를 위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평가한다”며 “이번 공동선언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남북경협을 위한 논의가 있었던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북미대화를 통해 실질적인 진전들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논평했다.
이어 “경협의 조건이 조기에 성숙하기를 기대하며 이에 대비하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한반도 평화와 공동번영을 위한 의미 있는 진전인 ‘9월 평양공동선언’에 합의한 것을 환영한다”며 “이번 공동선언이 남과 북의 상호호혜 및 교류와 협력을 증진해 나가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이번 남북정상회담은 우리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을 실현하는 역사적 이정표이자, 한민족의 공동번영을 위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높이 평가한다”면서 “‘전경련 남북경제교류특별위원회(위원장 : 정몽규 HDC 회장)’를 중심으로, 우리 정부의 한반도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 경제계의 아이디어를 수렴하고 정책대안을 마련해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평양·서울공동취재단=백상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