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20일 ‘5대 분야 일자리 중점과제 선정 점검회의’를 열었다. 이번 회의는 지난달 20일 열린 ‘긴급 일자리대책회의’의 후속 조치다. 앞서 경기지역 올해 7월의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증가 수는 6만5천 명으로, 2016년 4월(10만3천 명) 이후 최저 증가 폭을 기록해 ‘최악의 일자리 난’이라는 평을 받은 바 있다.
도는 핵심 일자리 전략인 ‘경기도형 일자리(공공ㆍ공익적 민간 일자리)’ 외 틈새 일자리를 찾고자 실ㆍ국별 전수조사를 실시, 5대 분야 200여 건의 사업을 발굴했다. 5개 분야는 ▲미래 일자리 ▲애로 처리(기업규제 해결) ▲미스매치 해소 ▲공공인프라 ▲도시재정비 등이며, 이날 회의에서는 대표사업 23건(예상 일자리 창출 7만6천여 명, 예상 소요 도비 312억여 원)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대표사업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은 통일경제특구 도내 유치다. 통일경제특구는 개성공단처럼 경기북부 등 접경지역에 남한의 기술과 자본, 북한의 노동력을 결합한 특구를 말한다. 평양 남북정상회담 등에 영향으로 올해 내 관련 법의 통과가 예상되지만 특구 후보지로 강원도도 꼽히고 있어 도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상황이다. 도는 2020년 특구 지정 신청을 받고 사업이 추진되면 최소 7만 명 이상의 일자리(3천300여㎡ 기준)가 확보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화성 국제테마파크 조성사업(1천600명), 시흥 거북섬 일원 특화개발(900명) 등도 제시됐다. 또 게임개발자 취업중심 인재육성(30명),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전문인력 양성 과정(70명) 등 창출 인원은 작지만 장기적인 일자리 확보 방안도 검토됐다.
실ㆍ국 관계자는 이달까지 내년 본예산 반영 및 시ㆍ군과의 매칭 비율 등 검토 과정을 수행, 이재명 도지사에게 최종 보고할 예정이다. 특히 도는 최근 불거진 도와 시ㆍ군 간 예산 비율 등 갈등 상황을 고려, 도비의 비율을 최소 5:5로 설정해 시ㆍ군의 부담을 감소시킨다는 복안이다.
김진흥 행정2부지사는 “일자리 계획이 수립될 경우 4년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추진하겠다”며 “매년 엄격한 평가와 인센티브 부여로 계획의 완성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