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인천 노인학대 신고 444건 단일권역 전국 최고… 대책 시급
며느리가 음식에 독극물 병원行 아들이 돈 요구하며 무차별 폭언
인천 미추홀구에 살고 있는 A할머니(73)는 최근 자주 먹는 음식에 며느리가 독극물을 섞어놓아 음식을 먹은 뒤 복통을 호소하며 응급실로 이송됐다.
며느리는 집안 일이 서툴러 A할머니와 잦은 다툼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A할머니는 1주일간 병원신세를 지고 나서야 귀가했다.
이후 아들이 이혼절차를 진행하면서 며느리가 집을 나갔지만, 그는 다시 며느리가 생명을 위협하러 올 것이란 피해망상 증세까지 보이고 있다.
인천 남동구에 사는 B할머니(67)도 최근 아들로부터 지속적인 학대를 당해왔다. B할머니는 따로 살고 있는 아들로부터 ‘아파트를 팔아 돈을 달라. 빨리 죽어라. 목을 매 죽으라’는 폭언을 당해왔다.
그는 학대를 견디다 못해 1천만원을 대출해줬지만, 집을 팔아 돈을 달라는 아들의 협박은 계속됐다. 아들은 B할머니가 자고 있는 틈에 집에 침입해 불까지 지르려고 했다.
B할머니는 아들의 학대를 견디다 못해 최근에는 낮에만 집에 있고 밤에는 인근 경로당 등에서 선잠을 청하고 있다.
1일 인천시노인보호전문기관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지역 노인학대 신고건수는 총 444건으로, 전국 신고건수 4천622건 중 9.6%를 차지했다. 이는 754건(16.3%)을 기록한 경기도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수치다.
경기도의 경우 3개 권역 신고건수를 합친 것으로, 단일권역만 놓고 보면 인천이 전국에서 가장 높다. 인천은 올해 상반기에도 신고건수가 이미 339건을 기록했다. 학대 가해자는 배우자 또는 자식과 며느리 등 친족이 90% 이상을 차지했다.
이에 대해 관련분야 전문가들은 인권감수성 교육 강화와 사회시스템 정비를 대책으로 꼽고 있다.
정희남 인천시노인보호전문기관 관장은 “가족들로부터 제대로 부양받지 못해 결국 방임과 학대로 이어지고, 경제적 문제와 연결되면서 버려지는 노인들도 점차 늘고 있다”며 “인권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는 단순교육이 아니라, 지역사회에 어떤 여파가 있고 실천이 가능한지를 고려하는 ‘인권 감수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준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