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부실시공으로 적발된 사업장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자유한국당 민경욱 의원(인천 연수을)이 3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올해 7월말까지 전국에서 부실시공으로 적발된 사업장은 총 37건(3만 5천831세대)에 달했다.
지난 2016년 8곳이었던 부실시공 사업장은 지난해 19건으로 대폭 증가했고, 올해도 7월까지 10건이 적발돼 이미 작년의 절반수준을 넘어서는 등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시·도별로 보면 대전이 8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가 6건으로 뒤를 이었다. 경기도는 2016년 1건(431세대), 지난해 5건(3천328세대) 등 6건(3천759세대)을 기록했다.
적발된 건설사들 또한 대형 건설사와 중견 건설사 등이 고루 포진돼 부실시공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부영주택의 경우, 성남위례와 화성동탄2 등 경기도 4개 사업장을 비롯, 전국 12개 사업장에서 부실시공으로 적발됐다.
하지만 부실시공에 대한 제재는 대부분 솜방망이 처분에 그치고 있다.
37건의 부실시공 사업에 대해서 총 48건의 제재가 내려졌는데, 경징계인 벌점부과(66.7%)와 시정명령(20.7%)이 대다수인데 반해, 공사중지·영업정지·형사고발 등 중징계는 4.2%에 그쳤다. 경기도 6건에 대해서도 1건만 벌점부과와 함께 형사고발 됐을 뿐 5건은 벌점만 부과됐다.
민 의원은 “업체 규모에 관계없이 건설사들이 잇따른 부실시공 논란에 휩싸이면서 건설업계에 대한 국민 불신이 깊어지고 있다”면서 “국토교통부는 철저한 관리감독과 처벌 강화로 반복되는 부실시공을 원천봉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