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경력단절여성 위해 나선다…지원센터 설립 준비

▲ 경기도청전경
▲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가 도내 경력단절여성을 지원하기 위해 나선다. 도내 여성들이 일과 생활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센터 등을 마련, 경력단절을 막겠다는 복안이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는 도내 여성들의 일ㆍ생활 균형과 고용안정 등을 위한 ‘경기도 일ㆍ생활 균형 지원 조례안’을 준비 중이다. 조례안에는 ‘경기도 일ㆍ생활 균형 지원센터’ 설립 및 역할 등의 내용이 담길 전망이다.

 

일ㆍ생활 균형지원 센터는 일ㆍ생활 균형을 위한 부모교육 및 상담, 정보 제공, 커뮤니티 활동 지원 등의 역할이 부여된다. 또 여성의 고용안정 및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상담과 교육, 양성이 평등한 사회 조성사업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도는 현재 워킹맘을 위한 1 대 1 심층상담, 집중 코칭 프로그램, 찾아가는 멘토링 등 여성고용안정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시ㆍ군과의 협력 등을 아쉬운 점으로 지적받았다. 이에 도는 지원센터 설립을 통해 일선 시ㆍ군과의 협력 체계를 강화, 더욱 체계적인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이재명 도지사는 6ㆍ13 지방선거 당시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지원 확대 등을 약속하며 “경기도의 모든 사람들이 성별 때문에 차별받지 않고 평등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바꾸겠다”며 “모든 사람이 존중받는 인간중심 사회, 차별과 권위주의를 거부하는 성 평등 경기도를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도 관계자는 “현재 도내 여성들이 겪는 일과 생활의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조례안을 준비 중”이라며 “도내 여성들의 일과 생활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 여성들의 경력단절 예방에 도움을 주겠다”고 말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경기지역 전체 기혼 여성 242만 명 중 경력 단절을 경험한 기혼여성은 124만 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를 토대로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이 도내 경력단절 여성 1천 명을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54.7%)이 ‘임신ㆍ출산’을 이유로 꼽으며 일ㆍ생활 양립을 위한 지원책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여승구ㆍ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