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긴장 완화 추세에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했다.
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2일(현지시간)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기존과 동일하게 ‘AA’로 설정해 발표했다. 이는 전체 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영국, 벨기에, 프랑스, 뉴질랜드, 쿠웨이트와 같은 등급이며 일본·중국(A+)보다 두 등급이 높고 미국·홍콩(AA+) 등보다는 한 등급이 낮았다.
S&P는 한국의 신용등급 전망도 역시 현재와 같은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S&P는 “남북 및 북미 관계 개선에 따라 한반도 내 긴장이 완화하는 추세”라고 진단하고 “잠재적인 북한의 안보위협 가능성은 여전히 등급 상향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만약 북한이 상당한 수준의 경제 자유화를 진전시킬 경우 지정학적 위험도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S&P는 “한국의 성장세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견조하며 특정 산업이나 수출시장에 의존하지 않고 다각화돼 있다”며 “양호한 세계 경제, 확장적 재정정책, 임금인상에 따른 소비증가로 인해 단기적으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평균 2.7%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S&P는 2016년 8월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으며 이후 2년 넘게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앞서 무디스는 지난 6월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세 번째로 높은 구간인 Aa2로 설정했고 피치는 네 번째로 높은 수준인 AA-로 평가했다.
구예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