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신용현 “노벨상 수상자…한 연구 30년 지속, 60대 이상 74%”

“안정 지속적인 연구 환경 조성이 연구역량 높이는 밑거름”

▲ 1531906_1421112_4338 (1)

국내 과학 분야의 연구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연구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바른미래당 신용현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받은 ‘최근 20년간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 수상 당시 연령 분포’를 분석한 결과, 60대 이상 연구자의 수상 비율이 74.18%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최근 10년간 노벨상 수상자들은 평균적으로 노벨상 수상연구의 시작부터 수상 시점까지 31.2년이 걸린 것처럼 30년 이상 한 연구를 지속할 수 있는 안정적인 연구환경과 연구자 지위 조성이 노벨상의 씨앗이 된다고 신용현 의원실은 설명했다.

 

신용현 의원은 “현재 ‘우수연구원 정년연장제도’로 전체 정규직 연구원 정원의 10%를 우수연구원으로 선발해 정년을 보장해주는 제도가 운영되고 있지만, 적용 비율이 너무 낮다”며, “정부가 우수연구원 지정을 15%로 상향 확대하는 방안을 2015년 임금피크제 적용 당시부터 이야기했지만 현재까지도 실현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 의원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연구 환경 조성은 우리나라 연구원의 연구역량을 높이는 밑거름”이라며, “이번 국정 감사에서 연구원의 전문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연구원 정년연장제도 적용비율 확대와 관련한 진행 상황을 정확히 짚어보고, 문제점을 파악해 시정조치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