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장성급회담 "연말 11개 GP철수...한강하구 조사 일정 합의"

남북이 한강(임진강)하구 공동이용과 관련, 11월 초 공동수로 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또 11개 감시초소(GP) 시범철수 작업을 연내 완료하기로 했다.

 

28일 남측 대표단이 발표한 보도문에 따르면 남북은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를 성실히 이행해 나가기로 했으며, 이를 위해 6가지 조치에 합의했다

 

남북은 우선, 11월 1일부로 지상·해상·공중에서 적대행위를 중지하고 새로운 작전수행절차를 적용하기로 한 합의가 차질없이 이행될 것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또 한강(임진강) 하구에서 민간선박의 자유항행 보장을 위한 사전조치로서, 군 및 해운당국 관계자와 수로조사 전문가가 포함된 남북공동조사단(각10명)을 구성해 11월 초 공동 수로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어 남북은 연말까지 시범철수하기로 합의한 상호 11개 GP철수를 위해 11월 말까지 GP병력·장비 철수 및 완전파괴 조치를 이행하며, 12월중 상호 검증을 통해 연내에 모든 조치를 완료하기로 했다.

 

또 비무장지대(DMZ) 내 남북공동유해발굴을 위한 지뢰제거 및 도로개설 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상호 확인했으며, 내년 4월부터 본격적인 시범 공동유해발굴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제반 준비를 철저히 이행하기로 했다.

 

아울러 1992년 5월 남북이 합의한 ‘남북군사공동위원회 구성·운영에 관한 합의서’를 준용해 ‘남북군사공동위원회’를 조속히 구성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비무장화를 위한 ‘남·북·유엔사 3자협의체’ 협의 및 비무장화 조치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평가했다.

 

남북과 유엔군사령부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내 초소와 화기를 철수 등에 대한 공동검증을 마무리하면서 민간인의 ‘JSA 자유왕래’가 조속한 시일 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3자 공동검증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면서 JSA의 풍경은 65년 만에 확 달라지게 될 전망이다. 9·19 군사합의서에는 JSA 비무장화 조치 완료 이후 운영방식에 대해 명시돼 있다. 이에 따르면 1953년 정전협정 합의대로 공동경비구역에 주둔하는 병력은 각각 35명(장교 5명·병사 30명)이 넘지 않게 된다.

 

현재 남북 경비병들은 공동경비구역에서 권총만 허용되는 규정을 어긴 채 소총, 기관총 등으로 무장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권총도 휴대하지 않는 완전 비무장 상태로 경비를 서게 된다. 왼쪽 팔뚝에는 ‘판문점 민사경찰’이라는 노란 완장을 찬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