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5도~한강~서울 이어지는 평화의 바닷길 복원
남북 역사문화 클러스터·한반도 생태공동체 육성
수산기술협력도 연계 등 다양한 사업 기대감 커져
남북이 오늘부터 한강하구 수로 공동이용을 위한 조사에 나서면서 서해5도-한강-서울로 이어지는 ‘평화의 바닷길 복원’과 ‘남북 역사문화 클러스터’ 등 서해평화 수역 조성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4일 정부와 인천시 등에 따르면 남북이 지난 10월 26일 판문점에서 장성급 군사회담을 열고 한강(임진강)하구 공동이용과 관련 공동수로 조사를 진행하기로 협의한 가운데 남북한 연구원들이 5일부터 12월14일까지 한강하구 수로 공동조사에 본격 착수한다.
남북한 조사연구인력 각 10명씩이 참가하는 이번 공동조사는 오는 4월 한강하구 자유항행을 위한 것이다. 79km 구간 중 3개의 거점(강화군 서도면 주문도·하점면 창후리, 김포시 하성면 전류리)을 정해 유속, 간·만조 변화, 수중지형 등 선박의 항행 가능성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수로 공동조사를 계기로 서해5도에서 한강하구를 거쳐 서울로 이어지는 서해평화수역 논의가 급진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인천은 강화군 교동도 등 한강하구 지역을 활용한 ‘평화의 바닷길 복원’과 ‘남북 역사문화 클러스터 조성’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평화의 바닷길 복원은 서해5도에서 잡은 수산물을 한강을 이용해 서울로 직배송 할 수 있는 물류 길이 열리는 것이며 남북 역사문화 클러스터는 한강 하구 유역의 역사를 재조명할 수 있는 주춧돌이 될 전망이다.
인천 한강하구를 환경협력 거점인 ‘한반도생태공동체 허브’로 육성할 수 있는 길도 열린다. 시는 관련사업으로 ‘한강하구갯벌생태계 공동조사’, ‘교동도 남북 생태환경 협력기지 조성’, ‘한반도 철새네트워크 국제화’ 등을 고려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한강 하구에 있는 모래 채취가 가능해지면서 해사 채취로 몸살을 앓는 옹진군 섬 지역 생태계 보존에도 청신호가 켜질 것으로 예상된다.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의 서해 수역과 관련된 내용으로 공동어로구역 설정, 한강(임진강) 하구 공동이용 군사적 보장 등도 담겨 있다. 이번 한강하구 수로 공동 조사 결과에 따라 앞으로 남북 수산기술협력과 남북공동어로 지원거점 조성 등 연계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점쳐지는 이유다.
박찬훈 시 정책기획관은 “남북 간 한강하구 공동조사를 기점으로 시가 구상하고 있는 평화의 바닷길 복원과 남북 역사문화클러스터 조성, 한반도생태공동체허브 육성 등 서해평화수역 조성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시는 물론, 옹진·강화군이 서해평화수역 관련 논의 테이블에 참여하는 길을 찾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