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내부순환철도망 등 투자적격성 낮아 사업추진 어려워
제2경인전철·서울2호선 청라연장 완료 후 B/C값 재산정
인천시가 제 1경인전철 지하화, 내부순환 철도망 구축 사업을 2027년 이후로 연기했다.
시는 투자적격성(B/C) 값 확보에 난항을 겪는 제 1경인전철 지하화와 내부순환 철도망 구축 사업을 제 2경인전철, 서울 2호선 청라 연장 사업이 끝나는 2027년 이후에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시는 제 1경인전철 지하화 사업을 당초 2018년과 2019년 각각 사전타당성 조사,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해 2021년에는 사업 실시 설계를 마칠 방침이었다.
또 내부순환 철도망은 상대적으로 B/C값이 높은 남부순환선(인천대공원~시민공원 29.98㎞, 사업비 1조7천711억원)을 우선 추진하고 나머지 구간은 단계별 추진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제 1경인전철 지하화와 내부순환 철도망 사업은 각각 약 8조1천966억원, 6조6천59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갈 것으로 추정되면서 B/C값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제 1경인전철 지하화 사업의 B/C값은 0.55로 추산됐으며, 내부순환 철도망 구축 사업은 대순환선 B/C값 0.29, 남부순환선 B/C값 0.48에 그치며 사업 타당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시는 제 2경인전철과 서울 2호선 청라 연장 사업 이후 B/C값을 다시 산정할 계획이다.
시는 제 2경인전철 등 2개 사업이 먼저 완료되면 유동 인구와 교통 수요가 늘면서 내부순환 철도망, 제 1경인전철 지하화 사업의 B/C값도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시는 제 2경인전철과 서울 2호선 청라 연장이 이뤄지면 제 1경인전철에 몰리는 교통 수요가 분산, 현재 4개 선로를 2개 선로로 축소·지하화해 사업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시 관계자는 “제 1경인전철 지하화와 내부순환 철도망 사업은 지역 균형 발전 측면에서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제 2경인전철과 서울 2호선 청라 연장이 마무리되면 사업 여건이 변해 B/C값 확보가 쉬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제 1경인전철 지하화 사업은 지상 철로 때문에 남북으로 단절된 도시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인천역~부개역 13.97㎞를 지하화하는 것이다. 내부순환 철도망 구축은 인천대공원~송도테크노파크~동인천~아시아드경기장~인천대공원을 연결해 인천 중심의 도시철도망을 구축하고 시민의 교통 편의를 높이는 사업이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