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바닷길 복원하고 역사문화 클러스터 조성
남북이 5일부터 한강하구 수로 공동조사에 착수하면서 김포ㆍ파주 등 경기도 접경지역과 연관된 서해평화수역 및 서해안 경제협력벨트 조성에 대한 기대감이 치솟고 있다.
4일 정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남북은 지난달 26일 판문점에서 장성급군사회담을 열고 한강ㆍ임진강하구 공동이용과 관련 공동수로 조사를 진행하기로 협의한 가운데 남북한 연구원들이 5일부터 오는 12월 14일까지 한강하구 수로 공동조사에 본격 착수한다.
남북한 조사연구인력 각 10명씩이 참가하는 이번 공동조사는 내년 4월 한강하구 자유항행을 위한 것이다. 79㎞ 구간 중 3개의 거점(김포시 하성면 전류리, 강화군 서도면 주문도ㆍ하점면 창후리)을 정해 유속, 간만의 조 변화, 수중지형 등 항행 가능성 조사를 시행한다.
이번 수로 공동조사를 계기로 서해5도에서 한강하구를 거쳐 서울로 이어지는 서해평화수역 논의가 급진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 강화군 교동도와 김포를 거쳐 서울까지 이르는 ‘평화의 바닷길’이 복원돼 서해5도의 수산물의 직배송 물류가 열리게 될 전망이다. 또 한강하구 유역의 역사를 재조명하는 남북 역사문화 클러스터도 조성과 생태환경 보존 등의 사업도 기대된다.
특히 한강하구 남북 공동 활용이 추진되면 경기도는 ‘한강하구 포구 및 옛 뱃길 복원’, ‘한강 수상관광 확대 및 내륙 문화ㆍ관광 거점시설 활성화’, ‘파주ㆍ김포 통일경제특구 조성’ 등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한강하구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또 김포시는 시가 제안하는 조강경제특별구역 조성과 조강평화대교 등이 힘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을 통해 조강평화대교를 넘어 북한까지 가도록 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선박의 한강하구 자유항행은 물론 물길과 육로의 연결을 이루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한강 하구 준설을 통해 남북한 관련 수계의 홍수 조절과 예방은 물론 모래와 기타 골재 등의 채취로 남북한 건설 산업 부양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전망이다.
국방부 당국자는 “한강하구는 정전협정에 따라 남북 민간선박의 자유로운 항행이 보장되는 수역”이라며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상태 지속으로 자유롭게 접근하지 못한 공간을 공동으로 이용하기 위한 군사적 보장이 이뤄지면 또 하나의 평화공간이 복원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